스포츠조선

운동 중 무릎에서 '뚝' 소리, 방치땐 관절염 진행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2-05-19 10:58 | 최종수정 2022-05-20 08:57


무릎회전 모습. 사진제공=연세건우병원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제한이 사라지면서 운동 등 야외 활동이 늘어나고 있다.

운동을 다시 시작하면서 자주 발생하는 대표적인 부상 부위는 바로 무릎이다.

특히 방향 전환, 갑작스런 감속, 점프 및 착지 과정에서 전방 십자인대 파열을 진단받는 경우가 많다.

십자인대는 무릎관절을 연결하는 조직으로 무릎의 앞뒤 움직임을 제어하며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 중 전방십자인대는 축구나 농구, 테니스, 달리기 등과 같은 운동 시 갑작스럽게 정지하거나 잘못된 착지 동작, 뒤틀리는 동작 등으로 파열되는 경우가 많다. 무릎이 꺾이고 비틀려지면서 인대가 버티지 못할 정도로 큰 힘이 가해져서 조직이 손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연세건우병원 조승배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무릎에서 뚝하는 소리가 나면서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게 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점차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일시적인 염좌 등으로 오해하고 휴식만 취하며 치료를 미루기 쉽다"면서 "손상된 전방십자인대의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되면 관절의 불안정성이 지속되면서 무릎 내 조직에 이차적인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며 특히 나이가 젊어도 무릎관절염이 진행될 수 있어 같한 유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국내 전방십자인대파열 환자의 약 86%가 치료방법으로 수술을 택한다. 하지만 모든 환자들이 쉽게 수술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수술 자체가 워낙 부담이기 때문이다. 연세건우병원 무릎 임상분석팀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환자의 평균 입원기간은 무려 13일이며, 학회보고에 따르면 재발율은 낮게는 6%에서 높게는 25%까지 보고되고 있다.

조승배 원장은 "환자들은 긴 입원기간은 수술 부작용, 긴 수술시간 때문에 수술 자체를 부담스러워 한다. 결국 환자들에게 수술이 안전하고 통증과 시간도 적을 것이란 것을 믿음을 줄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과거 전방십자인대파열 수술은 관절 운동에 따라 길이 변화가 적은 전내측 다발만 재건하였다. 문제는 인대의 다발이 관절 각도에 따라 장력이 다르고 상호관계를 유지하며 움직이는데, 재건하기 쉬운 전내측 다발만 재건하다 보니 불안정성 발생하여 재파열 발생률이 높아질 뿐 아니라 퇴행성변화까지 가속화시키는 부작용이 이어져왔다.


최근에는 수술 후 무릎 안정성을 훨씬 높이면서 수술 기간도 획기적으로 줄이는 수술법이 개발되고 있다.

조 원장은 "최근 도입된 이중재건술은 각기 다른 역할로 무릎안정성에 기여하는 전내측다발과 후외측 다발을 나눠 재건해주기 때문에 수술 후 불안정성 문제와 그에 따른 재파열, 퇴행성 변화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실제 학계에서도 이중재건술이 해부, 생역학, 생체적 측면에서 기존 재건술에 비해 장점이 월등하다고 보고되었으며, 국제축구연맹(FIFA)에서도 선수들에 십자인대 재건술 시 이중재건술을 권하고도 있다"고 전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조승배 원장이 환자에게 진료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

당신은 모르는 그 사람이 숨기고 있는 비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