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방역지침 변화에 편의점 인기 상품도 달라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22-01-23 11:08 | 최종수정 2022-01-23 11:14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지침 변화에 따라 편의점 인기 제품 판매량도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 편의점 매출을 분석해보면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시 '집콕' 소비 제품이, 완화 시 야외활동 관련 물품이 잘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점 CU는 수도권의 거리두기가 2.5단계에서 2단계로 완화된 지난해 2월 숙취해소제와 여행용 세트 매출이 전달보다 각각 30.5%와 25.4%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 지난해 2월은 정부가 15일부터 거리두기 단계를 수도권은 2단계, 비수도권은 1.5단계로 한 단계씩 완화한 시기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따라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제한 시간은 오후 10시까지로 1시간 늦춰졌고, 영업이 금지됐던 유흥시설도 방역수칙 준수를 조건으로 오후 10시까지 영업을 할 수 있었다. 이같은 조치 덕에 식당과 술집에서 여럿이 모여 술을 마시거나 미뤄뒀던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관련 제품의 매출이 늘었다. 반면 주류(1.2%)와 도시락(2.5%), 가정간편식(3.3%) 매출의 증가폭은 저조했다.

그러나 코로나 4차 대유행이 발생한 지난해 7월 이후 숙취해소제 매출이 전달 대비 22.3% 줄었다. 12일부터 수도권의 거리두기를 최고단계인 4단계로 격상하고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 사적모임을 금지 등 방역조치 강화 영향을 받았다. 여름 휴가철에도 불구하고 여행용 세트 판매량은 2.3% 증가하는 데 그쳤다. 대신 주류(18.8%), 도시락(14.4%), 가정간편식(20.5%) 매출은 눈에 띄게 늘었다.

이런 현상은 지난해 11월 '위드 코로나' 시행과 지난해 12월 거리두기 재강화 때도 반복됐다. 11월 한 달간 숙취해소제(28.4%)와 여행용 세트(22.6%) 매출은 늘었지만, 주류(-5.4%)는 매출이 줄었다. 도시락(1.6%)과 가정간편식(4.2%) 매출도 저조했다. 반면 12월에는 주류(17.7%), 도시락(10.8%), 가정간편식(15.7%)은 매출이 늘었다. 숙취해소제 매출은 6.9% 감소했고, 여행용 세트 매출은 4.4% 증가하는 데 그쳤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