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이 느리게 뛰는 서맥성부정맥은 피부를 절개해 커다란 인공심박동기를 몸에 넣어야 했다. 위험이 따르고 환자의 불편이 있었지만 조만간 이러한 문제가 극복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는 가슴의 피부를 절개해 부피가 큰 인공심박동기를 삽입하고 혈관을 통해 심장 안으로 전선을 연결했다. 시술로 남는 흉터 외에도 인공심박동기가 피부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전선에 이상이 생기면 다시 절개해야 하는 불편도 있다. 국내에서는 한 해 동안 약 5000명 정도가 인공심박동기를 삽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전선이 없고 무선으로 작동하는 심박동기가 메드트로닉 사에서 개발됐다. 소형 건전지보다 작아서 대퇴부 정맥을 통해 심장 안에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다. 피부를 절개하지 않아 흉터도 없고 회복이 빨라 환자 만족도가 높다. 전선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도 해결됐다.
이소령 교수(순환기내과)는 "이번 시술은 국내에 최초로 도입된 무선 심박동기 시술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쾌거"라며 "앞으로 적응증이 되는 서맥성 부정맥 환자에게 편리한 무선 심박동기 시술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