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외식업 가맹본부 생존 기간 평균 5년 11개월…전체 프랜차이즈 보다 2년4개월 짧아"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0-09-23 11:35


외식업 프랜차이즈의 생존 기간이 평균 6년도 안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이 발간한 '외식 운영 형태별 현황 및 특성·성과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외식업 가맹본부(프랜차이즈 본사)의 생존 기간은 평균 5년 11개월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프랜차이즈 업종의 평균 생존 기간 8년 3개월보다 2년 4개월 짧은 것이다.

이처럼

외식업 프랜차이즈의 생존 기간은 짧지만, 가맹점은 2012년 7만2903개에서 지난해 12만3310개까지 증가했다.

지난해 전체 프랜차이즈 업종의 가맹점은 25만5514개로, 이 가운데 외식업이 절반 가까운 비중을 차지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서현우 연구원은 "최근 5년간 신규 개점한 외식업 가맹점은 연평균 약 2만3000개로, 전체 프랜차이즈 업종 평균인 1만5000개를 웃돌았다"며 "최근 5년간 폐점한 외식업 가맹점은 연평균 약 1만7000개로, 이 역시 전체 평균인 1만1000개를 상회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외식업 프랜차이즈는 점포당 연평균 매출액이 2억4000만원으로, 비(非)프랜차이즈 1억7000만원보다 많았다.

하지만 창업 인테리어 비용이 평균 5060만원으로 비프랜차이즈 평균 3290만원보다 많았고, 리모델링 비용 역시 평균 2369만원으로 비프랜차이즈 평균 1621만원보다 많이 들었다.


프랜차이즈 매장은 일반 매장과는 달리 로열티(가맹비) 등을 본사에 내야 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량적인 매출액과 영업이익만을 보면, 외식 프랜차이즈 형태의 수익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지만 투자금액 대비 수익성은 오히려 비프랜차이즈 형태의 외식업체의 수익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 연구원은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최근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지만, 질적인 성장과는 무관해 보인다"고 전했다.

아울러 프랜차이즈는 비프랜차이즈보다 투자 비용이 많이 들어 실패할 경우 손해도 더 크다고 지적했다.

서 연구원은 "국내 외식산업 발전을 위해 무분별한 브랜드 개발 방지, 가맹본부 역량 향상, 가맹본부와 가맹점주 간의 분쟁 해결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주요 분쟁이나 단기 폐업 등은 경쟁력 없는 가맹본부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직영점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가맹본부만 가맹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관련 법안이 발의된 상태로, 조속한 처리가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자료=한국외식산업연구원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아직 대어는 없다" 7파전 신인왕 경합...팀성적도 고려대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