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중소기업 직원, 대기업 직원 임금의 60%도 못받아…중소기업 생산성 향상 중요

이정혁 기자

기사입력 2020-07-20 12:46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가 소폭 개선되긴 했지만 여전히 중소기업의 임금이 대기업의 6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고용노동부와 중소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 300인 미만 중소기업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총액은 313만9000원(사업체노동력조사 기준)으로 상용근로자 300인 이상 대기업(535만6000원)의 58.6%에 그쳤다.

이 비율은 5년 전인 2014년(55.1%)보다는 3.5%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이 수치는 2017년 57.9%에서 2018년 56.9로 낮아졌다가 지난해 58.6%로 다시 상승했다. 그러나 아직 60% 선을 밑돌고 있다.

특히 지난해 중소기업 중 종사자 1~4인 사업체의 월평균 임금총액은 213만4000원으로 대기업의 불과 39.8%였다. 또 종사자 5~9인 사업체는 대기업의 52.7%였고 10~29인 사업체 61.8%, 30~99인 사업체 68.8%, 100~299인 사업체 76.0% 등이었다.

5년 전인 2014년에는 1~4인 사업체 임금총액이 대기업의 36.5%에 그쳐 더 낮았고 5~9인 사업체(48.2%)도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상용근로자 500인 기준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구분해도 경향은 비슷했다.

지난 2018년 기준으로 상용근로자 500인 이상 대기업의 월 평균임금이 536만9000원인데 1~4인 사업체의 평균임금은 184만8000원으로 대기업의 34.4%에 그쳤다. 5~9인 사업체(273만5000원)는 50.9%, 10~29인 사업체(311만3000원)는 58.0%, 30~99인 사업체(332만8000원)는 62.0%, 100~499인 사업체(386만4000원)는 72.0% 등이었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미래전략연구단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2015년을 기점으로 약간 완화하고 있지만 아직도 심각한 수준"이라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생산성을 향상하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아직 대어는 없다" 7파전 신인왕 경합...팀성적도 고려대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