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무릎관절 마모” 퇴행성 관절염, 심하다면 정형외과 인공관절 고려해야

임기태 기자

기사입력 2020-07-20 10:48



무릎은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걸을 때, 계단을 오를 때 등 여러 가지 다양하게 사용하는 관절 중 하나이다. 자주 사용을 하다 보니, 나이가 들면서 무릎관절의 연골이 쉽게 마모된다. 이렇게 무릎관절이 마모되는 것을 퇴행성 관절염이라 부른다.

무릎 관절과 고관절 쓰는 일이 잦고 젊을 때의 근로 환경에 따라서 관절을 혹사시키는 시기가 길어졌다면 뼈 또는 인대 등의 손상이 비교적 빨리 일어날 수 있다. 아프기 시작한다면 고관절 등에 염증과 통증이 생기면서 검사를 통한 정형외과 진단을 받아봐야 한다. 시기에 따라서 보존적인 치료를 통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지만, 지속적인 방치로 인해 이미 변형이 심하게 된 상태라면 수술적인 방법인 인공관절을 고려해볼 수 있다.

퇴행성관절염은 50~60대 연령층이 된다면 무릎이 쑤시고 뼈 마디마다 통증이 발생하는 초기 증상이 보인다. 초기에는 비교적 손상이 적기 때문에 운동할 때만 해당하는 부위에 자극을 받아 순간적인 통증이라 생각을 하고 파스와 같은 방법으로 완화를 하고 쉽게 방치할 수 있다. 순간적인 실수로 인해 방치를 하게 된다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가지는 것뿐만 아니라 추후 척추에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심한 경우 인공관절을 통한 수술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에 진단을 받아봐야 한다.

무릎관절 치환술은 관절손상 범위에 따라 부분 치환술과 전체 치환술로 나뉘게 된다. 전체는 무릎의 위쪽 대퇴골과 아래쪽 경골, 슬개골의 관절면을 인공관절로 교체하는 수술을 말하며, 부분과 같은 경우는 손상된 한쪽 면만 절제해 인공관절로 바꾸는 시술이다. 많은 이들이 인공관절이라 하면 양쪽 모두를 교체 해야 한다고 오해할 수 있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수술은 세라믹, 금속처럼 인체에 비교적 무해한 재질의 제품을 사용하는지, 내구성이 뛰어난 제품을 통해 진행하는지 확인을 해보는 것이 좋다.

대구 정형외과 서대구병원 김대성 관절센터장은 "뼈의 굵기는 어떤지, 질환은 어느 정도 진행이 되었는지를 고려해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 후 수술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스포츠조선 medi@sportschso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아직 대어는 없다" 7파전 신인왕 경합...팀성적도 고려대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