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여성 고용지표가 꾸준히 개선되고 있지만,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 등은 선진국과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여성 생산가능인구 증가율은 한국이 13.9% 증가해 가장 높았다. 이어 이탈리아(8.3%), 영국(8.1%), 프랑스(5.4%), 독일(4.7%), 일본(4.3%), 미국(3.6%) 등의 순이었다. 같은 기간 취업자 수 증가율도 한국이 12.7%로 독일(10.2%)과 영국(8.8%) 등을 앞섰다.
그러나 한국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008년 54.8%에서 지난해 59.4%로 개선됐지만, 상위 5개국과 비교해 크게 낮았다.
고용률 또한 한국은 지난해 57.2%로 10년 전보다 3.9%포인트 상승했지만, 7개국 중에 6위에 그쳤다.
지난해 고용률 1위를 차지한 독일(72.1%)과 격차는 14.9%포인트였으며, 5위인 프랑스(62.5%)보다 5.3%포인트 낮았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여성 고용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유연근무제 활성화 및 기업의 여성고용 유지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해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해야 한다"면서 "여성 직업훈련 강화,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 등의 재취업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