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의료재단 힘찬병원(대표원장 이수찬)의 나눔 의료로 인공고관절 수술을 받은 우즈베키스탄 환자들이 건강을 되찾고 본국으로 돌아갔다고 25일 밝혔다.
한국에 입국할 때는 휠체어를 탔지만, 걸어서 집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된 입라기모바 샤훌로씨(여·44)는 "움직이려면 주변 사람의 도움이 필요해 방에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았는데, 앞으로는 자유롭게 활동하며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 같다"며 "힘찬병원의 의료진들께 말로 다 표현하지 못할 만큼 감사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양쪽 다리 길이 차이가 심해 위태롭게 걷던 이스모이로브 쇼임존씨(남·55)는 보행뿐 아니라 10분 이상 앉아 있거나 잠자는 것에도 불편함이 컸다. 그는 "수술을 받은 후 앉아서 밥을 먹을 수 있게 됐다"며 "수술이 끝난 뒤에도 나만을 위해 재활운동을 할 수 있어 굉장히 만족스럽고, 나날이 경과가 좋아지는 것을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고 기뻐했다.
다양한 고관절 질환에 적용되는 인공고관절 치환술은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확실한 치료법으로 수술 후 6~8주 가량 목발보행을 권장하며 그 이후에는 천천히 보행할 수 있다. 2주 만에 자가 보행이 가능해진 환자들은 우즈베키스탄으로 떠나며 한국행 비행기에 몸을 실을 수 있던 자체가 행운이라고 입을 모았다. 유일하게 배운 한국어 '감사합니다'를 연신 외치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이수찬 힘찬병원 대표원장은 "우즈베키스탄은 의료 수준이 낙후돼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는 심각한 상태의 환자가 상당하다"라며 "앞으로도 경제적으로 어려운 우즈베키스탄 환자에게 나눔 의료를 계속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힘찬병원은 하반기 우즈베키스탄 부하라 지역에 정형외과, 신경외과, 내과, 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등 6개 진료과와 100여 병상 규모의 의료시설을 갖춘 부하라 힘찬병원 개원을 앞두고 있다. 개원을 기념해 100명의 현지 환자에게 나눔 의료를 진행하는 계획으로 7명의 수혜자가 1차로 치료를 마쳤으며, 오는 9월경 2차 우즈베키스탄 환자들이 입국할 예정이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