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5월 경상수지 흑자 전환…한은 "하반기 경상수지 개선 기대"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9-07-04 13:55


지난 4월 적자를 기록했던 경상수지가 5월 흑자전환됐다. 다만 경상수지에서 핵심을 차지하는 상품수지(수출-수입)는 5년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19년 5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5월 경상수지는 49억5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경상수지란 한 나라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발생한 모든 경제적 거래 가운데 상품과 서비스 등의 경상거래를 구분해 기록한 통계를 말한다.

경상수지 여러 항목 중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분야는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다. 상품과 서비스를 외국에 수출하면 생산 증대를 유발해 일자리가 늘어나고 소득도 늘어나게 된다.

5월 경상수지가 곧바로 흑자로 회복된 것은 상품수지가 흑자 기조를 유지한 가운데 서비스 수지 적자 폭이 줄고 배당 지급 등 4월에 있었던 계절적 요인이 사라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상수지 흑자전환에도 불구, 세부 지표만 놓고 보면 상황은 좋지 않다.

상품수지는 53억9000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흑자 폭은 2014년 1월(36억7000만 달러 흑자) 이후 5년 4개월 만에 가장 작다.

수출(480억3000만 달러)이 1년 전보다 10.8% 줄어든 여파다. 반도체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29.2% 감소했는데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3월(-36.2%) 이후 가장 큰 감소세다.

수입은 426억4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가 줄었다. 유가 등 에너지류 가격이 약세를 보이고, 기계류 수입이 감소한 영향을 받았다. 수입보다 수출이 더 많이 줄어든 게 상품수지 흑자폭 축소의 원인이 됐다.


한편 올해 1∼5월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155억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산자부가 발표한 6월 무역수지(통관기준 잠정치) 흑자 규모가 41억7000만 달러인 점을 고려하면 상반기(1∼6월) 경상수지 흑자는 한은이 지난 4월 경제전망에서 내다본 상반기 전망치(245억 달러)에는 크게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하반기에는 수출 회복 등에 힘입어 경상수지가 상반기보다는 개선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한은 측은 "경상수지 흑자폭이 상반기보다 하반기에 컸던 현상이 일반적이었다는 점에 견줘 보면 올해도 큰 여건 변화가 없는 경우 하반기에 경상수지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