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통신비 절감을 위해 단말기 완전자급제 도입 논의가 불거지자 휴대전화 유통점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휴대전화 유통점들은 휴대전화 판매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을 분리하는 완전자급제가 도입되면 주수입원인 이통사에서 받는 판매수수료의 감소로 인해 생존권 자체를 위협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휴대전화 유통점들은 즉각 반발했고, 급기야 일부 단체들은 집단행동에 나섰다. 사단법인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산하 SK텔레콤전국대리점협의회(협의회)는 16일 서울 중구 오펠리스에서 창립식을 열고 공식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협의회에는 전국 1000여개 SK텔레콤 대리점이 참여했다. 지난 6월 말 LG유플러스 대리점협의회가 조직됐고, 8월 28일에는 KT대리점협의회가 출범한 것을 감안하면 협회 산화 통신3사별 대리점협의회가 모두 꾸려진 셈이다. 협회 산하 통신 3사별 대리점협의회는 판매수수료 인상과 완전자급제 도입 저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통 3사 상품을 모두 취급하는 판매점은 단말기 완전자급제 반대 의견 제시를 넘어 집단행동에 돌입할 예정이다. 한국이동통신판매점협회는 17∼18일 이틀간 SK텔레콤 신규 가입을 거부할 계획이다. 최근 국감에서 완전자급제 도입 논의가 불거진 데는 SK텔레콤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게 협회 측의 판단이다.
이통업계 관계자는 "단말기 완전자급제 도입 문제는 매년 국감에서 항상 거론되는 문제"라며 "유통점들 사이에서 이번 기회에 도입 저지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어 갈등이 쉽사리 해결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남북교류 특별페이지]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