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를 위한 남북 및 유엔군사령부 3자 협의체의 첫 회의가 16일 오전 10시 판문점에서 개최된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이 회의에는 우리 측에서 조용근 북한정책과장(육군대령) 등 3명이, 유엔사 측은 군사정전위원회 비서장 버크 해밀턴 미 육군대령 등 3명, 북측은 엄창남 육군대좌 등 3명이 각각 참석했다.
JSA 내 남측 초소 4곳과 북측 초소 5곳을 철수하는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JSA 외곽의 '돌아오지 않는 다리' 인근 북측 초소 1곳과 '도보다리' 인근의 우리측 초소 1곳은 그대로 유지될 계획이다.
3자 협의체에서는 JSA 비무장화 이후 적용할 근무규칙, 양측 비무장 군인들의 근접거리 합동근무 형태 등을 만들게 된다.
특히 JSA 북측 지역 '72시간 다리'와 남측 지역 진입초소 일대에서는 남북이 각각 비무장 초소를 설치해 근접 근무하거나, 하나의 초소에서 함께 근무하는 방안도 협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JSA에서는 남·북한군 각각 35명이 '판문점 민사경찰'이라고 쓴 완장을 왼팔에 착용하고 경비 임무를 수행한다.
남북 민간인과 외국인 관광객 등도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JSA내 양측을 각각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게 된다.
국방부는 "JSA 북측지역 72시간 다리 끝점과 남측지역 진입초소 일대에 남북이 근접해 운용하는 각각 2곳의 비무장 근무초소를 설치할 계획"이라며 "구체적 시행방안은 3자 협의체에서 협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포츠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