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조원' 쌓인 퇴직연금, 수익률은 '1.88%'…은행예금 이자보다 낮아 '부실운영 논란'

김소형 기자

기사입력 2018-03-22 15:28


지난해 말 기준 퇴직연금이 168조원 넘게 쌓였지만, 수익률은 1.88%에 불과해 금융사들의 '부실운영 논란'이 일고 있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퇴직연금 적립금은 168조4000억원으로, 전년보다 21조4000억원(14.6%) 증가했다. 148조3000억원(88.1%)이 원리금 보장 상품이고, 실적배당 상품은 14조2000억원(8.4%)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확정급여형(DB형)이 110조9000억원으로 11조3000억원(11.3%), 확정기여형(DC형)과 기업형 퇴직연금(IRP·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이 42조3000억원으로 7조3000억원(20.7%), 개인형 IRP가 15조3000억원으로 2조9000억원(23.2%) 늘었다.

원리금 보장 상품은 예·적금 비중이 68조5000억원(46.2%)으로 가장 높았고, 보험 상품이 64조4000억원(43.4%),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가 13조2000억원(8.9%) 순으로 나타났다. 실적배당 상품 가운데 13조8000억원(97.4%)은 집합투자증권이 차지했다. 단, 집합투자증권 중 채권형이 9조4000억원(68.2%)을 차지해 보수적인 운용 행태를 보였다.

퇴직연금 점유율을 금융권역별로 보면, 은행(50.0%), 생명보험(23.5%), 금융투자(19.1%), 손해보험(6.4%), 근로복지공단(1.0%) 순으로 나타났다. 삼성생명·신한은행 등 상위 6개사의 적립금이 52.2%에 달했다.

연간 수익률(총비용 차감 후)은 지난해 1.88%, 최근 5년 환산 수익률은 2.39%, 9년 환산은 3.29%다. 연간 수익률은 2016년보다 0.30%p 상승했다.

다만 금리가 상승세로 돌아섰는데도 원리금 보장 상품의 수익률은 2016년보다 0.23%p 하락한 1.49%를 기록, 은행권 정기예금 금리(1.65%)보다도 0.16%p 낮았다. 실적배당 상품 역시 코스피 지수가 지난해 21.76% 상승했지만, 해당 상품들의 평균 수익률은 6.58%로 2016년보다 6.71%p 상승하는 데 그쳤다. 주식시장 호황의 영향으로 실적배당 비중이 많은 DC형과 기업형 IRP가 2.54%로 수익률이 그나마 높은 편이었고, 개인형 IRP는 2.21%, DB형은 1.59%에 불과했다. 업권별로는 금융투자가 2.54%로 가장 높고 생명보험(1.99%), 손해보험(1.79%), 은행(1.60%), 근로복지공단(1.58%) 순이었다.

한편 퇴직연금의 연간 총비용을 기말 적립금으로 나눈 총비용부담률은 0.45%로 1년 전과 같았다. 연간 총비용은 운용관리수수료, 자산관리수수료, 펀드총비용을 더한 개념이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