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네 병의원과 같은 1차 의료기관의 혈액투석 환자도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전문적인 영양 상담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혈액투석 환자는 당뇨병과 고혈압이 동반돼 철저한 영양 및 식생활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혈액투석 환자들이 주로 다니는 1·2차 병의원에는 이를 전문적으로 관리해 줄 수 있는 영양사가 없는 곳이 많다.
류동열 교수팀이 개발한 '헤스티아'는 환자가 직접 자신의 식생활 및 증상에 대해 입력하고, 담당 의료진이 환자의 의학정보를 입력해 주면 이를 바탕으로 환자의 영양 상태를 알려 준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임상영양사는 환자의 영양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며 좋은 영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영양 상태가 나쁘면 이를 개선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게 된다.
류 교수팀은 지난 20일 이대목동병원 의학관 회의실에서 양천구 보건소와 혈액투석 병의원의 의료진 및 공동 연구진들이 참석한 가운데 헤스티아 시연 및 연구, 사업을 위한 킥오프 미팅을 가졌다.
류 교수팀은 이날 미팅에서 나온 의견을 반영해 양천구 보건소와 함께 양천구 관내 1~2차 의료기관의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시범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또, 이대목동병원을 비롯한 5개 의과대학 병원들에서 유용성을 탐색하는 임상연구도 진행할 계획이다.
헤스티아 개발은 한국보건의료원의 국민건강임상연구사업 중 한국인 말기 신부전 환자 비용 효과 연구를 위한 전향적 코호트 구축 및 임상연구 자원화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