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SK그룹, 수출액 지난해 75.4조…수출비중 52.2% 역대 최고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8-02-04 16:01


SK그룹의 지난해 수출액이 75조4000억원을 달성했다. 수출 비중은 매출 대비 54.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4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수출비중이 50%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14년 이후 3년만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수출이 578조원 규모인 것을 감안하면 SK의 지난해 수출 기여도는 13%에 달했다. 수출을 기반으로 SK의 자체 성장은 물론 한국경제 상장도 이끈 셈이다.

SK는 올 초부터 이어지는 수출 호조세를 감안할 경우 2018년 전체 수출 규모나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SK는 지난해 반도체의 기록적인 성장세에 힘입어 전체 수출 중 ICT에서만 30조3000억원을 기록, 역시 처음으로 ICT 30조원 수출 시대를 열었다. 에너지·화학은 35조7000억원, 물류서비스는 9조5000억원에 달했다. 그동안 SK의 주력 수출품목이었던 에너지·화학 제품에 반도체 등 ICT 제품이 확고하게 자리잡았다는 평가다.

SK 내 ICT 수출 규모 추이는 SK하이닉스가 편입된 지난 2012년 9조5000억원을 시작으로 2013년 13조3000억원, 2014년 16조2000억원, 2015년 18조6000억원, 2016년 17조원, 2017년 30조3000억원 등 기록적으로 증가했다. SK하이닉스 편입 이후 지난해까지 ICT 누적 수출액만 100조원을 넘어설 정도다.

ICT 수출 실적은 SK하이닉스가 SK그룹에 편입된 이후 설비확대와 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R&D에 집중 투자한 결과다. SK하이닉스가 기술경쟁력과 미세공정의 성공적인 전환을 바탕으로 지난해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선전했다는 것이 SK 측의 설명이다.

에너지·화학 관계사들도 지난 2014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유가변동 속에서 글로벌 파트너링과 적극적인 시장개척으로 지난해 35조7000억원을 달성해 '수출 코리아'를 주도했다. 지난 2016년 수출 규모(30조2천억원) 보다 20% 가까이 늘었다.

에너지·화학 관계사 중 SK이노베이션 계열은 지난해 46조8000억원 중 33조5000억원을 수출, 수출비중이 71.6%에 달했다. SK이노베이션 계열사들은 화학, 윤활유, 석유개발 등 비(非)정유부문의 지속적인 투자로 견고한 글로벌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차세대 먹거리인 화학·배터리분야의 글로벌 진출은 가속화됐다. SK종합화학은 지난해 미국 다우케미칼과 두 건의 고부가 포장재 소재사업 M&A를 모두 성사시키며 글로벌 고부가 포장재 소재시장에 진출했다. 배터리사업도 서산 배터리공장 생산설비 증설 추진 등 글로벌 수주경쟁에 적극 나섰다.

SK는 올해 수출 주도형 성장과 글로벌 경영에 나설 방침이다. 최태원 회장은 올 초 신년사에서 글로벌에서의 새로운 비즈니스 확보를 위해 국가차원의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협력 강화, SK와 글로벌 기업간 신(新)협력 모델 개발, 글로벌 기술 트렌드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 최적화 등을 강조한 바 있다.

SK 관계자는 "세계 무역환경의 불확실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으나 SK그룹은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해 나가고 있다"며 "우리나라가 무역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국가수출의 핵심 축 역할을 지속적으로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