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인에 관절염에 대한 인식은 무릎 혹은 어깨에 국한되어 있다. 그러나 연골과 관절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발생할 수 있는 것이 관절염이다. 특히 이같은 인식으로 조기치료 시기를 놓치고 병원을 찾는 것이 발목관절염이다. 더 큰 문제는 무릎과 어깨가 중년 이후 퇴행성으로 나타난다면 발목은 3,40대 비교적 젊고, 활동량이 많은 나이에 나타난다는 것이다.
발목관절염이 진행되면 조금만 무리해도 발이 잘 붓고, 심화되면 발목이 항상 부어 있으며 걷는 것 자체가 고통이다. 이 때문에 급격한 삶의 질 하락과 무릎 및 허리에 과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 때 X선을 촬영해 보면 관절 간격이 좁아지고, 틀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기내원 인공관절 없이 치료가능
박의현원장은 "보편적 발목관절염 치료는 병기구분 없이발목 부위를 고정하는 고정술이나 인공관절로 극단적 이원화로 이뤄져 왔다. 문제는 발목 관절염 환자는 젊다. 즉 발목을 계속 써야 할 이들에게는 후유증이 적고 환자의 발목을 최대한 보존하는 수술법이 필요했다."
이어 "그래서 도입한 것이 SMO 수술과 연골재생이다. 발목 관절염이 악화할수록 발목 관절은 정상 위치에서 점점 벗어나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며 악화시킨다. SMO 수술은 틀어진 뼈를 원래대로 되돌리는 교정을 통해 이를 해결한다. 우선 내시경을 이용해 손상된 발목의 연골이나 물렁뼈를 치료하면서 연골재생을 돕는다. 다음 통증의 원인이 되는 뼈의 각도와 위치를 정밀 교정과정을 거친되 발목뼈가 정상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교정을 시행한다."고 설명했다,
실제 연세건우병원 족부수술팀에서 정형외과 SCI 최권위 AJSM에 발표한 논문결과에서도 발목 관절염 환자 29명이 느낀 통증의 정도(10점 만점)가 수술 전 7.1점에서 수술 후 1.3점으로 크게 줄었고, 발목 관절 및 뒤꿈치 기능 평가 점수(100점 만점) 역시 수술 전 평균 60점에서 수술 후 83점으로 향상된 결과를 보여 SMO수술이 발목관절염 환자의 치료환경개선과 정상에 가까운 기능회복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