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와 전자업계가 미국 정부의 세탁기 '세이프가드'(safe guard·긴급수입제한조치)에 반대입장을 명확히 밝혔다.
공청회에는 핸리 맥매스터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랠프 노먼 연방 하원의원, 킴 맥밀런 테네시 클락스빌 시장 등 미국 측 주요인사도 참석해 세이프가드 조치는 한국 기업의 미국 내 공장가동 계획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미국 경제에도 부정적이라는 점을 설명했다.
하지만 월풀과 GE는 ITC 권고안(연간 120만대 초과 물량에 50% 관세 부과)에 따른 조치가 필요하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미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지난달 연간 120만 대를 초과해 수입되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세탁기에 대해 3년간 TRQ를 부과하는 내용의 권고안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출했다. 이 권고안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세탁기 120만대 이상 물량과 특정 부품 5만개 이상 물량에 대해 첫해 50%, 2년차 45%, 3년차 40%씩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이다. LG전자와 삼성전자는 미국에서 연간 약 300만대의 세탁기를 판매하고 있다. <스포츠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