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소폭 상승하고 전셋값은 강보합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또한 하반기 주택 공급은 전년 동기 대비 20~50% 수준의 감소가 예상되면서 인허가 29만1000가구, 착공 25만7000가구, 분양 19만1000가구 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준공(입주 예정) 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15.1% 증가한 31만3000가구에 이를 전망이다.
앞으로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셋값 비율)이 높고 입주물량이 단기적으로 집중된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역전세난'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업계는 예측하고 있다.
반면 월세가격은 하락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이는 저금리의 장기화와 월세공급의 증가로 전월세 전환율(월세이율)이 크게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전세에서 부분 월세로 전환하는 '준전세' 월 임대료는 오히려 상승하는 등 월세시장은 이중적인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연구원측은 하반기 주택시장의 5대 영향 변수로 ▲대출규제 ▲금리 ▲가계부채 ▲대선 정책방향 ▲입주량 등을 꼽았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