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의료기기 전문기업 비브라운 코리아(B. Braun Korea)가 지난 26일(목) '제 22회 관상동맥중재시술 국제학술회의(22nd CardioVascular Summit-TCTAP 2017)'에서 자사의 약물방출풍선(Drug Eluting Balloon, DEB) 제품 '시퀀트 플리즈(SeQuent® Please)'에 대한 국내외 의료진의 최신 임상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특별 세션을 진행했다.
첫 번째 발표를 맡은 신은석 교수는 직경 2.5mm 이상의 큰 신생병변 혈관에 약물방출풍선과 약물방출스텐트를 시술한 비교 결과를 소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약물방출풍선은 약물방출스텐드와 비교 했을 때 9개월 후 관상동맥 조영검사 및 심근 분획 혈류 예비력(Fractional Flow Reserve, FFR)에서 혈관 및 혈류 기능상 약물방출스텐트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12개월 후에도 동등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 신 교수는 "약물방출스텐트는 이전 치료법에 비해 부작용 및 재협착 발생률을 줄여주지만, 혈관의 치유를 지연시키고 또 다른 죽상동맥경화증을 유발시켜 스텐트 혈전증을 초래할 수 있다"며, "약물방출풍선은 폴리머가 없고 관상동맥혈관에 이물질을 남기지 않는다는 점, 혈관 벽에 약물을 균일하게 방출하고 항혈소판제 복용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자에게 좋은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외에도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하이브리드 시술법을 이용한 관상동맥 분지병변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직경이 작은 신생병변 혈관에서의 임상 경험 등을 통해 입증한 약물방출풍선의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으며, 관상동맥중재 시술 시 스텐트를 사용하지 않고 약물방출풍선만 사용해도 충분한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공유되었다.
한편, 관상동맥중재시술 국제학술회의는 심장혈관연구재단이 주최하고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이 후원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국제 학회로, 1995년 서울아산병원에서 처음 개최되어 올해 22회를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