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나쁜 콜레스테롤이 우울증과 자살충동을 높인다?

이규복 기자

기사입력 2017-04-19 16:05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면 우울증과 자살사고(자살경향성) 역시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보고 돼 이목을 모은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19일 김태석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의 '콜레스테롤과 우울증의 연관관계'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 정서장애저널(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4월호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김태석 교수팀은 2014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해 19세 이상 남성 2055명, 여성 2894명 등 총 4949명의 콜레스테롤 수치(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LDL)를 확인했다.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우울증 자가 보고 선별지'로 우울증과 자살사고를 확인하고 콜레스테롤 수치와 관련성을 연구했다.

그 결과 정상 범위를 벗어난 콜레스테롤 수치가 하나씩 늘어날수록 우울증 유병률이 45세~64세 중년은 1.43배, 여성은 1.34배씩 늘어났다. 4가지 종류의 콜레스테롤 측정치 중 비정상 범위인 콜레스테롤 수가 많을수록 우울증 빈도도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성지방의 수치가 정상보다 높은 경우, 우울증과 자살사고의 빈도가 높았다. 중성지방 수치가 정상치인 150mg/dl보다 높은 중년 성인의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우울증의 빈도는 2.2배, 자살사고는 3.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콜레스테롤은 크게 몸에 좋은 HDL(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과 나쁜 LDL(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중성지방과 LDL 콜레스테롤은 정상 범위보다 높으면, HDL 콜레스테롤은 정상 범위보다 낮으면 건강에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울증은 흔한 심리질환으로 마음의 감기라고도 한다. 우울증은 학업이나 가사, 직업에서의 개인 기능의 저하, 대인관계의 어려움 등 여러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자살이라는 심각한 결과에 이를 수 있는 뇌질환이다.

김태석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중년여성은 여성 호르몬의 변화에 따른 갱년기 증상의 하나로, 중년남성은 사회적 위치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성분으로 균형을 맞추는 관리가 필요하다. 튀김, 육류, 가공육 섭취는 줄이고 섬유질이 풍부한 통곡물, 콩류, 채소, 과일을 많이 먹는 식생활과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몸에 나쁜 콜레스테롤은 낮추고 이로운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준다. 특히, 중성지방은 지방과 탄수화물에 관계없이 알콜 등 과다열량섭취 시 상승하므로 열량섭취 조절이 필요하다.

김태석 교수는 "혈중 콜레스테롤 관리는 심혈관, 뇌혈관질환 등 주요 신체 질환의 예방뿐 아니라 자살이나 우울증과 같은 심리질환 예방을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김태석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현장정보 끝판왕 '마감직전 토토', 웹 서비스 확대출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