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에서 달리던 속도 그대로 차량주행하면서 안전하게 통행료를 납부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설치된 고속도로 하이패스는 대부분 기존 요금소를 개량해 설치했기 때문에 차로 폭이 3∼3.5m로 좁다.
이 때문에 안전운행을 위해 속도를 시속 30㎞로 제한하고 있지만 차량의 제한속도 준수율이 6%에 그치고 연간 40여건의 사고도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통행 시간이 줄게 되고 사고 위험 가능성 또한 상당히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차로 하이패스는 교통 흐름 개선 등 도입 효과가 큰 요금소부터 단계적으로 도입된다.
올해는 제2경인고속도로의 남인천, 남해고속도로의 서영암과 남순천, 경부고속도로의 북대구 톨게이트 등 4곳에 2차로 하이패스가 생긴다.
2018~2019년에는 교통량이 많은 3차로 이상의 수도권 고속도로 본선 요금소 중심으로 다차로 하이패스를 본격 구축될 예정이다.
구체적인 대상 지역은 경부고속도로 서울, 서해안고속도로 서서울, 중부고속도로 동서울 등 13개소 톨게이트다.
국토부 관계자는 "다차로 하이패스 도입으로 하이패스 차로 폭이 확대되어 더욱 안전해지고, 지·정체 개선 효과도 클 것"이라며 "이와 더불어 주행 중에 자동으로 통행료가 부과되는 스마트톨링 시스템도 2020년까지 차질없이 도입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