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표 보기 무섭다?…서민 물가 '비상'

전상희 기자

기사입력 2017-01-18 08:43


서민들의 '체감물가'가 한계 상황을 맞고 있다. 최근 각종 식품값과 주요 서비스요금이 줄줄이 오르면서 서민들의 살림살이를 더욱 팍팍하게 만들고 있는 것.

우려스러운 점은 서민들이 씀씀이를 줄이면서 소비 위축과 소비 절벽을 낳고 이는 다시 경기 불황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낳을 수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체감물가를 낮추기 위해 유통구조 개선과 함께 공공요금과 서비스요금의 인상 억제 노력이 절실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17일 통계청 가계수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 평균 소득은 444만5435만원을 기록했다. 2015년 3분기(441만6469원)보다 불과 0.65% 늘어나는데 그친 것. 근로자 2인 이상 가구를 따로 봐도, 1년새 월 소득은 486만1702원에서 494만2837원으로 1.66% 늘어나는데 그쳤다.

반면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인 장바구니물가의 상승세는 무서울 정도다. 정부의 공식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1%·2016년 12월 기준)에 비해 훨씬 높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이 지난 6일 자 기준 주요 농축수산물의 가격을 조사한 결과, 평년(직전 5년 평균)과 비교해 가격상승률이 두 자릿수를 넘는 농축산물이 대다수였다. 이중 무의 평균 소매가격은 1개당 3096원으로 평년(1303원)의 2.4배(137.6%↑) 수준까지 올랐고, 당근(1㎏ 6026원)은 평년(2692원)의 2.2배(123.8%↑)까지 치솟았다.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에 계란(특란)은 한 판(30알) 평균 소매가가 8960원으로 평년(5539원)보다 61.7%나 비쌌다. 갈치는 한 마리에 9759원, 마른오징어는 열 마리에 2만8534원으로 평년보다 각각 21.2%, 20.1% 올랐다.

농축산물 뿐 아니라, 가공식품과 서민 생활에 밀접한 소비재들도 잇달아 가격을 올리고 있다. 특히 지난해 6월에서 12월 사이에 10% 안팎까지 뛴 품목도 적지 않다. 제일제면소 소면(900g)의 경우 6개월간 2244원에서 2833원으로 26.2% 올랐고, CJ제일제당 '햇바삭김밥김' 가격 상승률도 19.7%(1874원→2244원)에 이르렀다. 같은 기간에 빙과류인 롯데푸드 '돼지바'(11.6%), 빙그레 '메로나'(11.9%), 해태 '바밤바'(12.7%) 등도 일제히 가격을 올렸다.

여기에 쓰레기봉투료나 하수도료 등 공공서비스 요금뿐 아니라 수리비 등 각종 민간서비스 물가도 들썩이고 있다. 서울시 상당수 자치구는 지난 1일부터 쓰레기봉투 요금을 440원(20ℓ들이 1장)에서 490원으로 올렸다. 서울시 하수도 요금도 올해 들어 평균 10% 올랐다. 쓰레기봉투 요금과 하수도 요금은 이미 지난해에도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오른 공공서비스 품목들이다. 통계청 소비자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 쓰레기봉투료는 2015년 평균보다 6.9% 뛰었다. 하수도 요금도 무려 22.2% 오른 상태다.

민간서비스 품목 중에서는 보험서비스료가 23.5%나 치솟았고 휴대전화기 수리비(9.1%), 가전제품수리비(8.1%), 자동차검사료(9.1%)도 10% 가까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학원비 등 사교육비 부담은 더 커지면서, 각 가정에선 씀씀이를 더욱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3분기 전국 도시 근로자가구(2인 이상)는 한 달 평균 학원·보습교육에 22만6576원을 지출했다. 1년 전 2015년 3분기(21만4492원)보다 약 6% 늘어난 것이다. 반면 식료품·비주류음료(-4%), 주류·담배(-1%), 보건(-8%), 통신(-3%), 오락·문화(-1%) 등의 소비는 오히려 줄어들었다. 결국,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각 가정에선 먹고 입고 노는 모든 씀씀이를 줄이면서 입시·취업을 위한 사교육비를 대고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이같은 소비 위축이 다시 경기 불황의 골을 깊게 만드는 악순환을 끊어내기 위해 유통구조 개선과 품목별 수급 안정 대책, 공공요금 인상 억제 등의 노력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향후 원자재 가격 인상이 이어져 기업들이 추가로 제품 가격을 더 올리고, 정부와 지자체의 공공요금 인상 행진도 계속된다면 불황의 골이 더 깊어질 것이라는 경고도 나왔다. 소득이 늘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물가만 오르면 소비가 더 위축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당장의 체감물가를 낮추기 위해 중장기적 수급 안정을 위한 유통 시스템 개선, 수입처 다변화 등이 해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무엇보다 농축수산물의 경우 여름에는 폭염이나 홍수, 겨울엔 한파로 인해 가격이 급등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기에 수급 변화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함께 정부에 공공요금 인상 억제를 주문하는 목소리도 강력하다. 농축산물의 경우 조류 인플루엔자 등 등 일시적 요인이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으나, 전국적으로 상하수도·쓰레기봉투 등 공공 서비스요금이 들썩이는 데는 최근 정치·사회적 혼란 상황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물가상승은 농산물 작황이나 유가 상승 등의 요인도 있지만, 행정적 차원에서 정부가 신경을 쓰지 않아서 가격이 오르는 면도 있다"며 "정부는 공공요금을 올릴 수밖에 없다면 인상 폭을 최소화해야 한다. 또 인상이 불가피할 경우엔 충분히 시간을 두고 인상 필요성에 대해 설득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전상희 기자 nowater@sportschosun.com

'핵꿀잼' 펀펌+'핵미녀' 디바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