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학범 감독은 철저한 '비주류'였다.
그는 선수시절 무명이었다. 태극마크는 고사하고 프로무대 조차 밟지 못했다. 실업팀 국민은행에서 은퇴한 뒤 은행원으로 일했다. 워낙 성실했던 그는 과장까지 진급했다. 하지만 축구를 놓지 못했다. 김 감독은 지도자로 다시 축구의 길을 걸었다. 특유의 성실함에 영리함을 더한 김 감독은 지도자 변신 후 승승장구했다.
김 감독의 힘은 공부였다. 2006년 명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으며 국내 첫 축구박사가 됐다. 김 감독은 틈만 나면 자비로 남미와 유럽을 방문해 수준 높은 리그를 보며 전술을 익힌다. K리그에서 가장 먼저 포백 전술을 도입한 것도 김 감독이었다. 성남, 강원, 광주 등 지원이 부족한 시도민구단을 맡았지만, 특유의 지략을 앞세워 늘 기대 이상의 성적을 거뒀다.
부단히 공부하며 실력으로 살아남았지만, 대표팀과는 거리가 멀었다. 비주류라는 유리천장이 그를 가로 막았다. 기회가 찾아왔다. 김봉길 감독의 경질로 U-23 대표팀 감독직이 공석이 됐다. 김판곤 국가대표선임위원장은 다양한 후보군을 올리고 면접을 진행했다. 김 감독은 강한 의지를 보였다. 그는 최종면접에서 대회 참가 24개국의 전력을 분석한 프리젠테이션을 했고, 깊은 인상을 남겼다. 마침내 김 감독이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
팬들은 김 감독에게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허니문은 길지 않았다. 와일드카드 발탁 과정에서 황의조(감바오사카)의 이름이 오르내리며, 분위기가 바뀌었다. 황의조가 과거 성남 시절 김 감독의 제자였다는 이유로 '인맥축구' 논란이 따라붙었다. 김 감독은 정면 돌파를 선언했다. 황의조를 그대로 발탁했다. 김 감독은 조목조목 구체적으로 설명해 팬들을 납득시키고자 했다. 베스트11까지 공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팬들의 불만은 진화되지 않았다. 일부 정치인까지 가세하며, 논란은 더욱 커졌다. 본격적인 출항도 하기 전에 여론의 거센 파도에 휩쓸려 흔들렸다. 설상가상으로 조편성까지 도와주지 않았다. 주최측의 실수로 두번이나 조편성이 다시 되는 촌극을 빚었다. 다행히 원안대로 대회가 진행되기로 했지만, 스케줄이 꼬였다. 연습경기 조차 치르지 못한 채 대회에 나서야 했다.
첫 경기였던 바레인전에서 6대0 대승을 거두며 기분 좋게 출발했지만, 이내 위기가 찾아왔다. 말레이시아와의 2차전에서 1대2로 패했다. 1차전과 비교해 6명이나 선수를 교체한 탓이었다. 그렇다치더라도 너무 형편없는 경기력이었다. '반둥 참사'로 불리며 다시 한번 거센 비판이 쏟아졌다. 김 감독은 "내 판단 미스"라며 자신의 탓으로 돌렸다. 선수들을 감싸며 하나로 뭉치게 했다.
결과적으로 이 패배는 약이 됐다. 한국은 이후 확 달라진 경기력을 보이며 승승장구했다. 김 감독의 지략이 돋보였다. 플랜A였던 스리백이 기대 이하의 모습을 보이자, 과감히 4-3-3으로 전환했다. 공수 모두를 잡았다. 특히 한국이 자랑하는 막강 공격진의 화력을 더욱 끌어올렸다. 우즈베키스탄과의 8강전(4대3)에서 극적인 승리로 눈물을 흘린 김 감독은 박항서 감독이 이끄는, 부담스러운 베트남과의 4강전에서는 '닥공'이라는 깜짝카드로 완승을 거뒀다. 그리고 대망의 결승에서 맞이한 한일전. 지면 그간의 성과를 모두 날릴 수 있는 부담스러운 일전이었지만 황희찬 선발, 이승우 조커 카드로 극일에 성공했다. 아무도 달성하지 못한 아시안게임 2연패를 이뤘다.
김 감독은 이번 대회를 중간 평가의 무대로 삼겠다고 했다. 김 감독은 "지도자는 성적으로 평가받는다. 지도자라면 그래야 한다. 이보다 더한 악조건도 이겨낼 자신이 있다. 평가 좋다. 도전하는데 절대 걸림돌이 되지 않는다"라고 자신을 보였다. 사실 아시안게임 금메달은 결코 쉬운 목표가 아니다. '금메달' 아니면 실패인 무대다. 그래서 더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김 감독은 언제나 그랬듯 실력으로 그 벽을 넘었다.
물론 이번 대회를 통해 보완할 점도 많았다. 냉정히 말해 이번 대회는 와일드카드의 맹활약이 아니었다면 금메달까지 갈 수 없었다. 23세 이하 선수들은 더 보완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올림픽 예선 통과도 장담할 수 없다. 아시아팀들의 수준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제 동남아팀들도 만만치 않다. 김 감독도 이를 잘 알고 있는 듯 했다. 그는 결승전 후 대회 멤버들의 집중적인 관리를 약속했다. 짧은 준비 기간에도 불구하고 중간 평가에서 만점의 성적표를 받은 김 감독은 롱런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제 김 감독의 시선은 2020년 도쿄올림픽을 향한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