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전략은 멕시코전과 같았다.
신태용 감독은 이를 봉쇄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문선민은 홍 철과 협력수비를 하며 키미히를 막았다. 상대 빌드업 시에는 앞선에서부터 적극적인 압박에 나섰다. 이재성은 헥토어의 오버래핑 뿐만 아니라 중원 싸움에도 적극적으로 임했다. 중앙에 포진한 장현수(FC도쿄)와 정우영(빗셀 고베)는 전형적인 수비형 미드필더였다. 공격 보다는 포백 앞을 보호하는데 힘을 썼다.
|
후반 들어서도 한국의 공격 본능은 계속됐다. 급한 독일을 상대로 영리하게 뒷공간을 노렸다. 그 결과 우리는 독일에 월드컵 역사상 첫 아시아팀 상대 패배, 첫 조별리그 탈락을 안겼다.
멕시코전에 이어 독일전까지, 우리가 가장 잘하는 압박과 빠른 스피드를 활용한 공격으로 상대를 괴롭혔다. 충분히 우리 축구로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그래서 스웨덴전이 더 아쉽게만 느껴진다. 우리가 잘하는 것을 했더라면, 그대로 4-4-2로 나섰더라면, 아니면 조금만 더 적극적으로 했다면 어땠을까. 의미없는 가정이지만, 갈수록 좋아졌기에 더 아쉬운 월드컵이었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