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정빛 기자] 배우 김영대의 2023년은 드라마 '낮에 뜨는 달'이었다.
반면 원작이 큰 인기를 끈 만큼, 부담도 컸을 것으로 보인다. "처음에는 웹툰을 모르고 있다가 대본 받고 권유받아서 웹툰도 챙겨봤는데 인기가 진짜 많더라. 그런데 하기로 마음먹고 난 다음에 안 사실이라 그것 때문에 물러서기는 아닌 것 같아서, 부담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했다. 그만큼 잘 표현해내고 싶다는 욕심도 있었다. 자극해 줄 만한 것을 스스로 만들어 준 것 같다."
기억 남는 반응에 대해서도 원작 인기에 대한 부담을 토로하기도 했다. "워낙 원작 팬분들이 좋아해 주셔서 처음에는 부담되는 반응이 많았었는데 그래도 또 원작 팬분들이 아닌 분들이 좋아해 주시는 분들이 많아서 그런 분들께 감사했고, 원작 팬분들이 마음에 안 든 부분도 있었을 것인데 저도 원작을 재밌게 봐서 어느 정도 이해한다. 웹툰과 드라마가 갖고 있는 재미적 요소가 달라서 그런 건 이해가 되는 부분이다. 드라마는 드라마 적으로 재밌었다."
|
|
전작 '금혼령, 조선 혼인 금지령'에서 조선의 사랑꾼 이헌 역으로 나온 것에 이어, 전작 '별똥별' 냉미남 톱스타 공태성까지. 공교롭게도 이번 '낮 뜨는 달'에서도 사극과 현대극을 오가며, 신라 엘리트 도하이자 톱스타 준오 역할을 맡았다는 점에서 전작과 비슷한 점도 눈에 띈다.
"'금혼령'과는 같은 사극인데 다른 사극 같다는 느낌을 받앗다. 현대극과 같이 섞여 있는 것도 많았고 현대 로코물 같은 것도 많았다. 그래서 조금은 사극처럼 안 보이면 좋겠다는 생각했다. 로코로 초점이 맞춰서, 시대적인 부분을 중요시 여기는 장르였기 때문에 거기에 최대한 벗어나지 않으려고 했다. 전생에 겪었던 일이라는 생각하면서 연기를 하려고 했다. 물론 체력적으로 힘든 것은 컸었다. 그래도 와닿는 것도 있었고 되게 동화되는 부분이 많았다."
다만 시청률 1~2%대로 아쉬움도 남을 것으로 보인다. "아쉬운 부분 있지만 낮은 시청률 불구하고 그 안에서 봐주신 시청자분들이 좋은 반응을 보여주셨다. 그런 것과 마찬가지로 작품적으로 여운이 남았고 길게 봤을 때도 괜찮았다. 한 회 한 회 자극적이고 시청률을 높일 수 있는 부분은 부족했을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괜찮은 작품이라 생각든다. 드라마는 여러 드라마도 있으니까 이런 드라마도 필요하단 생각도 있어서 시청률에 대한 아쉬움은 받아들인 것 같다."
|
그도 그럴 것이 2023년은 김영대에게 '낮에 뜨는 달' 그 자체였다. "올해는 기억 남는 게 '낮에 뜨는 달' 밖에 없다. 진짜 올해는 '낮에 뜨는 달'이었다. 3~4월 때부터 대본을 보고 준비를 했는데, 4월부터 촬영 들어가서 10월 말까지 했다. 드라마는 엊그제 끝나다 보니, 올해는 진짜 '낮에 뜨는 달' 작품에 모든 걸 쏟은 것 같다. 다른 건 진짜 기억이 안 난다. 현장 에피소드, 재밌었던 순간들이 다 기억에 남는다."
정빛 기자 rightligh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