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조지영 기자] 6년 만에 컴백한 추창민(52) 감독이 2012년 개봉해 1231만명의 관객을 끌어모으며 역대 한국영화 흥행 9위를 기록한 전작 '광해, 왕이 된 남자'에 대한 부담감을 털어놨다.
전작 '마파도'(05) '사랑을 놓치다'(06) '그대를 사랑합니다'(10) '광해, 왕이 된 남자'(12) 등을 통해 탁월한 캐릭터 메이킹과 탄탄한 스토리텔링을 선보인 추창민 감독은 이번 '7년의 밤' 역시 장르를 불문한 작품성과 뛰어난 미장센으로 3월 극장가 출사표를 던졌다. 특히 추창민 감독은 1000만 돌파 영화인 '광해, 왕이 된 남자' 이후 6년 만에 '7년의 밤'으로 스크린 컴백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날 추창민 감독은 본지를 통해 "'광해, 왕이 된 남자'가 예상치 못하게 1000만 관객의 사랑을 받아 차기작에 대한 부담이 생긴 것도 사실이다. 부담이 안 됐다면 거짓말이지 않나"라며 "부담이 된 것도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7년의 밤' 역시 '광해, 왕이 된 남자'처럼 1000만 관객을 돌파하겠다는 생각은 단 한 번도 하지 않았다. 그건 감히 내가 마음을 먹는다고 되는 일이 아니다"고 머쓱하게 웃었다.
|
그는 "전작에서 주로 휴머니즘을 다룬 따뜻한 소재의 영화를 해서 이번 작품이 '낯설다'라는 평을 많이 받는다. 특별히 심경의 변화나 변신을 하고 싶었던 건 아니다. 이번엔 그저 장르가 달라졌고 이야기가 달라졌을 뿐이다. 나는 주로 인간의 이야기에 관심이 많은 감독 중 하난데 전과 마찬가지로 인간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는 지점은 똑같다. 물론 전작에서는 따뜻하고 아름다운 인간의 이야기를 한 것이고 이번 '7년의 밤'에서는 차갑고 어두운 인간의 이야기를 하게 됐다. 이왕 반대 지점의 인간 이야기를 할 바에 제대로 집중해서 파고들자고 마음먹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인들도 '7년의 밤'을 본 뒤 '영화를 좋게 봤지만 결코 재미있게 봤다고 말할 수 없다'라고 하더라. 누구 하나 '잘 봤다'라는 말을 하지 않는다. 원작 자체가 무겁기도 하고 복수극이라는 주제가 있는데 영화도 마찬가지다. 두 아버지의 이야기를 다룬 만큼 특히 어떤 시점이라도 유머를 녹여낼 수 없어 더욱 어둡게 느껴지는 것 같다. 물론 관객에게 조금 더 편하게 다가가려면 곳곳에 유머를 녹여낼 수도 있겠지만 굳이 이 작품에서 그런 친절함을 보이고 싶지 않았다. 전작들을 통해 많이 해봤고 이번 작품은 시선을 돌리지 않고 정통법으로 관객에게 다가가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
추창민 감독은 ""'7년의 밤'은 소설이나 영화나 쉽게 보면 한없이 쉽게 볼 수 있는 작품이지만 반면에 곱씹으면 곱씹을수록 한없이 어려운 작품인 것 같다. 나 역시 어려운 작품이었고 보는 관객도 어렵게 느껴지실 것이다. 불편한 지점들이 있지만 영화가 확실하게 말하고자 하는 지점이 분명히 존재한다. 그런 지점을 염두에 두고 본다면 만족스러운 작품이 될 것 같다"고 당부했다.
한편, 정유정 작가의 동명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한 '7년의 밤'은 류승룡, 장동건, 송새벽, 고경표, 문정희 등이 가세했고 '사랑을 놓치다' '그대를 사랑합니다' '광해, 왕이 된 남자'의 추창민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오는 28일 개봉한다.
soulhn1220@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