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화와 애니메이션은 게임과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는 문화 콘텐츠다. 인기 만화나 애니메이션이 게임으로 출시된 사례는 게임 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1990년대부터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웹툰을 소재로 한 모바일게임들이 거둔 성과는 아쉬움 그 자체다. '1+1=2'를 기대했으나 '2'의 성과를 보인 게임은 드물었다. 어째서일까?
우선 웹툰 소재 게임들이 목표로 삼은 유저들의 연령층이 대부분 10대, 20대였다는 점을 이유로 꼽을 수 있다. 연령층이 모바일게임을 열심히 즐기는 세대지만, 수익성에 큰 영향을 주는 계층은 아니다. 모바일게임 시장의 흥행을 쥐락펴락하는 이른바 '헤비 과금러'는 30대 이상 유저들이며, 이런 유저층을 구축하지 못한 게임들은 괄목할만한 수익을 내기 어렵다.
이보다 중요한 문제는 게임 자체에 있다. 지금까지 출시된 웹툰 소재 게임 중 완성도로 유저들의 시선을 잡아끌 수 있는 게임은 그리 많지 않았다. 웹툰을 소재로 했다는 소식은 웹툰 팬들을 모바일게임으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하지만, 게임 자체의 재미가 있어야 그들을 붙잡아 둘 수 있다.
|
게임성 보다 원작을 활용한 '이슈몰이'에 집중했다고 밖에 보이지 않는 게임들은 결국 유저들에게 외면받을 수밖에 없다. 실제로 대부분의 웹툰 소재 게임들은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하는 디펜스, 초창기 형태의 수집형 RPG였고 원작 팬들은 물론 모바일게임 마니아들의 눈높이를 충족하기 어려웠다.
재미있는 웹툰이 좋은 시나리오와 뛰어난 혹은 개성있는 그림체가 합쳐져야 만들어지는 것처럼, 좋은 웹툰 소재 게임도 인기 웹툰과 잘 만들어진 게임이 만나야 완성될 수 있다. 인기 모델을 썼다고 해서 무조건 해당 상품이 불티나게 팔려나가던 시절은 지나버린 제조업 시장처럼 말이다.
'웹툰 소재 게임'에서 중요한 것은 웹툰이 아닌 게임의 완성도라는 것은 유저들이 보다 잘 알고 있다.
2017년에도 웹툰을 소재로 한 게임들이 대거 출시를 예고하고 있다. 과연 이들이 시장에 먼저 출시된 웹툰 게임들과 같은 실수를 반복할 것인지. 아니면 이들 사례를 온고지신 삼아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을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문제다.
게임인사이트 김한준 기자 endoflife81@gameinsigh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