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조지영 기자] 배우 조인성(36)이 옛날 사람이라는 수식어에 대해 "옛날 사람이 꼭 나쁜 것은 아니다"고 우문현답했다.
출연했다 하면 시청률 대박을 터트렸던 드라마와 달리 충무로에서의 조인성은 만나기 쉽지 않은 배우인 게 사실. 조인성은 2002년 개봉한 한국·홍콩·일본 합작영화 '화장실 어디에요?'(프룻 챈 감독)로 시작해 '마들렌'(03, 박광춘 감독) '클래식'(03, 곽재용 감독) '남남북녀'(03, 정초신 감독) '비열한 거리'(06, 유하 감독) '쌍화점'(08, 유하 감독) 등 단 여섯 작품의 필모그래피가 전부였다. 영화에서 좀처럼 만나볼 수 없었던 조인성. 이런 그가 '쌍화점' 이후 9년 만에 '더 킹'으로 관객을 찾아 나서 관심을 모았다.
조인성은 '더 킹'에서 삼류 인생 아버지 밑에서 불량 고등학생으로 자란 박태수를 연기했다. 검사에게 꼼짝없이 당하는 아버지의 모습을 보고 진정한 권력에 대한 동경을 갖게 되는 박태수는 우여곡절 끝에 사시패스에 성공하나 일반 샐러리맨과 다를 바 없는 검사 생활에 실망하는 인물. 그러던 중 대한민국 최고의 권력자 한강식(정우성)을 만나게 되고 그의 라인을 타고 승승장구하는 드라마틱한 캐릭터를 연기하게 됐다.
어느덧 데뷔 19년 차를 맞은 조인성. 9년 만에 영화 컴백하면서 변화된 현장에 어색한 것도 사실이었다고. 그는 "9년 만에 돌아온 현장은 확실히 달라졌다. 제일 크게 달라진 점은 현장에서 표준근로제가 생겼다는 것이다. 표준근로제가 있어서 합리적으로 현장이 운용된다. 예전에는 스태프를 대변해서 배우가 대신 이야기를 할 때가 있었는데 이제 스태프 스스로가 권리를 찾는다는 점이 좋더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옛날 사람'이라는 수식어에 대해 조인성은 "맞다. 나는 옛날 사람이다. 그런데 옛날 사람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요즘은 워낙 개인주의가 확실하지 않나. 옛날 사람들은 개인주의 보다는 단합을 중요시한다. 그게 때론 좋을 때가 있다. 요즘 배우들은 워낙 다양한 스케줄을 소화하고 있어서 연기가 끝나기 바쁘게 다른 촬영으로 넘어간다. 그런데 나처럼 옛날 사람은 쉴 때도 일단 현장 나와서 쉰다. 좋은건 나눠 스태프들과 다 같이 나눠먹고 싶어한다. 그래서 스태프들도 좋아하는 것 같다. 옛날 사람이라고 꼭 나쁜것은 아닌 것 같다"고 웃었다.
한편, '더 킹'은 무소불위 권력을 쥐고 폼나게 살고 싶었던 한 남자가 대한민국을 입맛대로 좌지우지하는 권력의 설계자를 만나 세상의 왕으로 올라서기 위해 펼치는 이야기를 그린 범죄극이다. 조인성, 정우성, 배성우, 류준열, 김의성, 김아중이 가세했고 '관상' '우아한 세계' '연애의 목적'의 한재림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오는 18일 개봉한다.
soulhn1220@sportschosun.com 사진=아이오케이컴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