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스포츠조선 김영록 기자] 마침내 프로야구에 아시아쿼터가 도입된다. '외국인 선수 1명 증가'라는 표제와는 조금 결이 다르긴 하지만, 어찌됐든 일본이나 대만, 호주의 우수한 선수를 저렴한 가격에 들여올 여지가 생겼다.
배구와 달리 '트라이아웃' 제도를 택하지 않았다. 선택할 수 있는 선수의 풀이 무척 넓다. 설령 뽑은 선수가 부상으로 이탈하더라도, 대체 선수 혹은 교체 선수를 데려오기도 한결 수월하다. 신인 드래프트와는 달리, 지금의 외국인 선수와 마찬가지로 각 팀의 자금력, 정보력의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날 전망이다.
당초 KBO는 아시아쿼터 선수의 포지션을 제한하는 방안도 고려했다. 기존 외국인 선수를 묶어 '투수와 타자의 수를 최대 2명'으로 제한한다던지, 투수를 데려올 경우 불펜으로만 활용하거나 이닝, 경기수를 제한하는 방법도 논의에 올랐다.
|
하지만 처음 한국에 올 당시 연봉 180만엔(약 1600만원)에 불과했던 시라카와도 선발로 뛰었다. 일본프로야구(NPB) 1군의 벽을 ?돝 못하고 나이만 먹는 선수라면 어떨까. 비교적 젊은 나이에 한국에 와서 성공한 뒤 미국으로 컴백하는 외국인 투수들이 대부분 이 케이스다. 일본이라고 이런 선수들이 없을 리 없다.
한편으론 시라카와처럼 일본 독립리그, 혹은 대만프로야구(CPBL)나 호주리그(ABL)의 연봉이나 처우를 감안했을 때 20만 달러로도 충분히 쓸만한 선수를 데려올 수 있다는 이야기도 적지 않게 나온다.
외국인 투수 2명 포함 빅3만 갖춰져도 가을야구에 갈 수 있고, 4~5선발까지 안정될 경우 우승도 노려볼만하다는 게 현장 사령탑들의 인식이다. 몇몇 특별한 투수들을 제외하면 '토종 에이스'는 3선발 자리를 맡기 마련. 안정감 있는 베테랑이 4선발, 새로 키우는 신예가 5선발을 맡아준다면 가장 이상적인 구조다.
|
결국 팀당 4~5명인 선발진에 외국인 투수만 3명을 채우고, 국내 영건들은 선발보다는 불펜에서 기용될 가능성이 크다는게 우려의 핵심이다. 국제 야구 교류에 대한 기대와 더불어 향후 국제대회 성적 역시 같은 의미에서 우려되는 지점이다.
한편으론 지난 겨울 FA 시장에서 엄상백(한화 이글스)이 4년 78억원의 특급 대우를 받은 것을 거론하며 FA 시장의 거품을 낮추는 효과를 기대하는 여론도 적지 않다. 선수 풀이 좁아진 결과는 결국 몸값 상승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일단 주사위는 던져졌다. 10개 구단이 얼마나 땀나게 뛰느냐에 따라 향후 승패가 명확히 엇갈릴 포인트다.
김영록 기자 lunarfl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