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한동훈 기자] 2024년 삼성 라이온즈는 리빌딩의 모범적인 사례로 꼽힌다. 유망주들이 우르르 잠재력을 터뜨리며 1군급 주전선수로 우뚝 섰다. 물음표가 붙었던 포지션들이 대부분 느낌표로 바뀌면서 삼성을 단숨에 우승후보로 탈바꿈시켰다.
때문에 두산을 바라보는 시선은 엇갈린다. 스프링캠프를 통해 확실한 키스톤콤비만 찾아낸다면 두산은 상당히 강력한 라인업을 구축할 수 있다. 하지만 풀타임 주전 유격수와 2루수를 그렇게 뚝딱 만들어내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최악의 경우 시즌 내내 내야를 해결하지 못하고 1년이 지나갈 수도 있다.
2024시즌을 앞둔 삼성이 그랬다. 강민호와 구자욱 외에 확실한 강타자가 없어 타선이 애매해 보였다. 유격수 이재현도 성장 단계였으며 3루수가 불확실했다. 외야도 구자욱의 어깨가 무거웠다. 삼성은 하위권으로 예상됐다.
|
|
두산 베테랑 정수빈은 "삼성이 작년에 잘했던 이유가 어린 친구들이 올라오면서 다 그 자리를 잡은 덕분이다. 한 명, 두 명, 세 명이 자리를 잡으니까 강팀이 됐다. 우리도 능력 좋은 친구들 많다. 그 친구들이 캠프에서 열심히 해서 자기 자리 잡아서 두산의 미래를 이끌어 갔으면 좋겠다"고 기대했다.
이승엽 두산 감독 역시 "팬 여러분들께서 굉장히 걱정을 많이 하시는 것 같은데 저는 기대를 더 가지고 있다. 그런 부분은 팬들께서도 걱정하지 마시고 기대를 가져주시면 좋겠다. 여러 대안이 있다. 어린 선수들이 한 명 튀어나오면 팀 전체 분위기가 바뀐다. 우리 팀도 그런 부분을 누릴 수 있도록 준비 잘 시키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한동훈 기자 dhh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