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엄상백의 한화, 최원태의 삼성. 과연 어디가 더 강할까.
그럴 수밖에 없다. 엄청난 돈을 썼다. 두 팀은 이번 시장 선발 '최대어'로 꼽힌 엄상백과 최원태를 각각 품었다. 한화가 4년 최대 78억원에 엄상백을, 삼성이 4년 최대 70억원에 최원태를 데려갔다.
반전의 연속이었다. 사실 지난 시즌을 끝으로 예비 FA들을 평가할 때는 최원태가 우위였다. '최대어' 타이틀을 달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올시즌 부상에 가을야구 부진 등이 겹치며 주목도가 떨어졌다. 여기에 FA A등급이라 보상 출혈도 컸다.
최원태도 그 길을 따라갈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계약은 감감무소식. 원소속팀 LG 트윈스가 영입전에서 참가조차 하지 않으며 분위기가 식었다. 경쟁은 전혀 없는데, 최원태 측이 높은 몸값을 고수하는 가운데 'FA 미아'가 되는 것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왔다. 하지만 삼성이 최원태를 품었다. 이 역시 예상을 뛰어넘는 70억원의 조건이었다.
두 사람 모두 한국시리즈 1, 2차전 선발로 믿고 투입하는 데는 의문 부호가 붙을 수 있다. 구위, 커리어 등을 고려할 때의 냉정한 현실. 하지만 한 시즌 선발 로테이션을 든든히 한 자리 채워줄 거라는 기대감으로 보면 훌륭한 자원들이다. 10승 이상을 충분히 기대해볼 만 하다.
|
중요한 건 양팀 모두 토종 선발진이 그렇게 약하지 않은 팀들이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두 사람의 시너지 효과가 더 커질 전망. 한화와 삼성도 이를 계산해 적극적인 투자를 했을 것이다.
한화에는 '괴물' 류현진의 '국가대표 에이스' 문동주가 있다. 외국인 2명을 더한 4명이 구축된 상황. 사실상 5선발 선수에 78억원을 썼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류현진-문동주-엄상백. 리그 최강의 토종 선발진이라는 데 이견을 달기 힘들다.
하지만 삼성도 만만치 않다.
삼성은 올시즌 15승을 거둔 다승왕 원태인 보유팀이다. 한국시리즈에서 어깨를 다쳤지만 내년 복귀에는 큰 문제가 없다. 여기에 최원태가 '토종 원투펀치'를 이루게 됐다. 한화에 비하면 조금 약해보일 수 있지만 올시즌 6승을 거둔 좌완 이승현도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5선발 자원이다.
|
이 부분에서는 삼성이 앞선다. 베테랑 백정현에 신예 황동재, 이호성 등 자원이 풍부하다. 한화는 김민우가 팔꿈치 수술 후 복귀까지 다소 시간이 필요하다. 황준서, 조동욱 대형 신인들도 올해 한계를 보였다. 앞으로 선발 기회를 얻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변수는 외국인 투수다. 삼성은 이미 후라도, 레예스 진용을 갖췄다. 퀄리티스타트 23회 1위, 후라도 가세가 크다. 레예스가 올해 포스트시즌에서 보여준 모습만 유지한다면 어떤 팀에도 밀리지 않을 외인 구성이다.
한화는 '최강 가성비' 와이스와의 재계약만 마쳤다. 단순 계산이지만 외국인 2선발 역할을 할 레예스와 와이스의 능력치가 비슷하다고 볼 때 결국 한화가 어떤 에이스급 투수를 데려오느냐에 따라 비교 우위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확실한 건 두 팀의 선발진 구성에 우열을 가리기 힘들다는 것이다. 내년 시즌 한화-삼성 3연전은 흥미로운 선발 매치업을 지켜보는 재미가 더해질 듯 하다.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