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정현석 기자]프로야구에 외국인 선수 제도가 처음 도입됐던 1998년.
세월이 흐르면서 그릇된 인식은 서서히 개선돼 갔다.
역동적이고 다채로운 한국 문화와 세계 최고 수준의 치안, 전쟁 위험을 거의 느낄 수 조차 없는 안전감이 실제 살아보니 체감이 됐다. 외국인 선수들 사이의 네트워크에 광범위하게 공유됐다. 여기에 한류 문화가 폭발하면서 한국은 '가보고 싶은 나라'가 됐다. 지금은 안보문제로 한국에 가지 않으려는 외국인 선수는 거의 없다.
|
상황이 이렇다보니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하다 재기를 노리는 선수들에게 KBO가 선호되기도 한다. 과거에는 미국에서 뛸 만큼 뛰고 퇴물이 된 나이 먹은 선수들이 은퇴 전 '마지막 무대'로 찾던 곳이었던 한국야구는 이제 재도약 무대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최근 에릭 페디, 제임스 네일 등 현역 메이저리거들이 속속 KBO리그에 모습을 드러내는 이유다. 타자 쪽에서도 에디슨 러셀, 야시엘 푸이그 등 메이저리그를 호령하던 선수들이 한국땅을 밟았다.
올 겨울도 두산베어스 콜 어빈, LG 트윈스 요니 치리노스 등 쟁쟁한 현역 메이저리거들이 KBO 팀들과 새로 계약을 맺고 있다.
심지어 과거 불 같은 강속구로 메이저리그를 대표하던 파이어볼러 '토르' 노아 신더가드도 메이저리그 복귀를 전제로 한국행 가능성을 열어뒀다. 그는 "메이저리그 복귀를 목표로 훈련하고 있다. 기회를 주는 구단이라면 어디든 갈 생각이다. 일본은 물론 한국에서도 1년간 뛸 수 있다. (아시아 무대가)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일본이든 한국이든 고유 문화를 존중한다"고 설명했다.
|
|
|
코로나19 이후 어려움을 극복한 뒤 서서히 훈풍이 불던 외인시장. 변수를 만났다. 지난 3,4일에 걸쳐 국가를 떠들썩 하게 했던 '비상계엄' 선포였다.
국회의 계엄해제 요구로 밤샘 해프닝으로 끝났지만 전 국민이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 한국을 보는 외국의 시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사건이었다. 민주화 지수가 높았던 한국에 대한 이미지에 먹칠을 했다. 분단 리스크와 맞물려 다시 '위험한 나라'로 오해받을 수 있는 트리거가 됐다. 실제 일부 국가는 자국민에게 한국 여행 자제권고를 하고 있다. 여기에 이번 사태로 환율까지 올랐다. 고환율이 유지되면 구단 입장에서는 한국돈을 더 써야 한다.
시간이 흐르면 다시 해소될 리스크지만 외인 수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구단들로선 반갑지 않은 악재다. 갑작스레 대두된 '계엄 리스크'. 특급 외인 고르기 경쟁이 펼쳐지고 있는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