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스포츠조선 권인하 기자]'9억 팔'이 '9억 방망이'로 새롭게 태어난다.
장재영은 아마시절부터 유명했었다. 덕수고 1학년때부터 150㎞가 넘는 빠른 공을 뿌리고 있었고 아버지가 장정석 당시 넥센 히어로즈 감독이었기 때문. 3학년 때는 155㎞의 빠른 공을 뿌리며 1차 지명은 당연했고, 키움이 2021년 그를 데려가며 한기주의 10억원 이후 역대 두번째인 9억원의 계약금을 안겼다. 모든 야구팬들이 잘 성장해서 한국의 에이스가 되길 바랐던 마음이 같았다.
그러나 프로의 세계는 쉽지 않았다. 150㎞가 넘는 빠른 공을 뿌려도 제구가 되지 않으니 프로에선 1군에서 경쟁력이 없었던 것. 스트라이크 보다 볼이 더 많이 들어오면서 장재영을 보는 시각은 기대에서 실망으로 점점 변해갔다. 키움은 그의 성장을 위해 지난해엔 '이도류'를 선택하기도 했다. 타격도 하면서 투수로서의 스트레스를 풀라는 의미였다. 그래도 잘 풀리지 않았다.
스프링캠프 막판 팔꿈치 부상으로 재활을 한 장재영은 지난 1일 경산에서 열린 삼성 라이온즈와의 퓨처스리그에서 첫 실전에 나섰는데 다시 팔꿈치에 문제가 생겼다. 당시 2-9로 뒤진 5회말 세번째 투수로 마운드에 오른 장재영은 11개의 공을 뿌린 뒤 갑자기 더그아웃쪽으로 고개를 돌렸다. 곧바로 코치와 트레이너가 올라와 상태를 확인했고, 부상으로 교체를 결정했다.
당시엔 새끼 손가락에 저림 증상이 있어서 교체가 된 것이어서 큰 문제가 아닐 것으로 여겨졌지만 병원 검사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인대가 70∼80%가 손상돼 수술이 필요하다는 것. 하지만 장재영은 팔꿈치 쪽에는 통증을 느끼지 못하고 있어 당시 수술보다는 재활을 택했다. 그리고 장재영은 이참에 투수가 아닌 타자로의 전향을 결심했고, 구단과의 상의 끝에 결정을 내렸다.
장재영은 2021년 19경기서 1패 평균자책점 9.17을 기록했고, 2022년엔 14경기서 승패없이 평균자책점 7.71을 올렸다. 지난해 7월 5일 NC 다이노스전서 데뷔 첫 승을 신고하며 1승5패 평균자책점 5.53을 기록. 투수로서의 통산 성적은 56경기 등판, 1승6패, 평균자책점 6.45다.
청소년대표 4번타자로 활약했던 장재영이기에 타자로서도 기대를 할 수 있을 듯. 덕수고 동창인 롯데 자이언츠 나승엽은 장재영의 타격 실력을 묻는 질문에 "내가 100이면 재영이는 120"이라며 장재영의 능력이 더 낫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제 야수로서 첫 발을 내딛는 장재영의 첫 경기는 21일 이천 베어스파크에서 열리는 두산 베어스와의 퓨처스리그 경기다. 장재영은 고교시절 유격수로도 뛰었기에 본인은 유격수를 하고 싶다는 뜻을 비쳤는데 구단은 타격 재능을 살리기 위해 이정후처럼 중견수도 훈련하는 것을 권유했다.
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