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 김광현, 최정, 추신수, 한유섬…. 거액의 FA 혹은 비FA 다년 계약을 체결한 고액 연봉 선수들을 대거 보유하고 있지만 샐러리캡이 넘치지 않았다. 이유있는 작전이 성공을 거뒀다.
올해 샐러리캡을 초과한 구단은 없었다. 그리고 '당연히' 샐러리캡 1위일 것이라 예상됐던 SSG 랜더스가 108억4647만원을 소진하며 2위를 기록했다. 샐러리캡 상한액 대비 5억7991만원이 적은 액수다. 샐러리 1위를 기록한 구단은 두산 베어스로 111억8175만원이다. 두산은 2억4463만원이 적어 상한선에 가장 근접한 구단이었다.
SSG도 고액 연봉 선수들이 많은 구단이다. 김광현과 4억 151억원에 계약했고, 비FA 다년 계약 3인방 한유섬(5년 60억원) 박종훈(5년 65억원) 문승원(5년 55억원)이 있고, 메이저리거 출신 추신수는 첫해와 두번째해 연봉 27억원, 올해 연봉 17억원을 받았다. FA 계약 중 마지막 1년이 남아있는 최정도 6년 106억원의 계약이 아직 안끝났다. 이른바 '억'소리 나는 선수들이 다수인데다 지난해 통합 우승을 하면서 주축 선수들의 연봉도 대거 인상됐다.
|
한유섬도 다년 계약이 실행된 첫해인 2022년 연봉이 24억원으로 직전해 1억8000만원에서 무려 1233.3% 상승했다. 역대 최고 인상율이었다. 김광현의 프로야구 최고 연봉 기록에 이어 한유섬도 최고 인상율을 기록했다. 물론 샐러리캡을 감안한 영리한 계약이었지만, 아니꼬운 시선을 보내는 관계자들도 적지는 않았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성공이었다. SSG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샐러리캡에 대한 부담이 커서 외부 FA 영입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샐러리캡 도입 첫 시즌을 마치고, 구단들 사이에서는 제도를 더 손질해야 한다는 불평이 쏟아지고 있다. 어떤 방향으로 개선이 되더라도 SSG처럼 다양한 작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나유리 기자 youll@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