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김광현도 16년째 못받았다' 13년 동안 최정 한명 빼고 전멸, 왕조 시절이 무색한 서러움

나유리 기자

기사입력 2023-12-12 16:49 | 최종수정 2023-12-13 07:01


'김광현도 16년째 못받았다' 13년 동안 최정 한명 빼고 전멸, 왕조 …
2022년 KBO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3루수 부문을 수상한 최정. 스포츠조선DB

[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올해는 수상자 배출 실패. 13년 동안 최정 한명 빼고는 수상자가 없었다.

SSG 랜더스는 11일 열린 KBO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수상자가 한명도 나오지 않았다. 이번 골든글러브는 통합 우승팀 LG 트윈스가 3명, NC 다이노스가 3명을 각각 배출했고, 그 외 두산 베어스와 키움 히어로즈, 한화 이글스가 1명씩을 배출했다.

SSG는 유독 골든글러브와는 인연이 먼 팀 중 하나다. 물론 독보적인 선수가 한명 있다. 바로 3루수 현역 레전드 선수인 최정이다. 최정은 무려 8개의 황금 장갑을 받은 선수다.

2011년 데뷔 후 처음 3루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고, 이후 2011~2013년 3년 연속, 2016~2017년, 2019년, 2021~2022년까지 8차례 같은 포지션에서 수상하며 독보적인 커리어를 자랑한다. 최정은 종전까지 양의지(두산)와 더불어 현역 최다 골든글러브 타이를 기록했다.


'김광현도 16년째 못받았다' 13년 동안 최정 한명 빼고 전멸, 왕조 …
2023 골든글러브 시상식이 11일 오후 서울 삼성동 코엑스 오디토리엄에서 열렸다. 수상자들이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혜성, 박건우, 노시환, 양의지, 손아섭, 구자욱, 홍창기, 오지환. 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23.12.11/
양의지가 올해도 수상에 성공하면서 9회로 현역 최다 기록을 다시 썼고, 최정은 이번 시상식에서는 후배 노시환(한화)이 데뷔 후 처음 3루수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면서 수상에 실패했다.

하지만 최정 이외에는 지난 13년간 한명도 골든글러브를 수상하지 못했다. 2010년 외야수 부문 수상자인 김강민이 최정 외 선수 가운데서는 마지막이었다. 2018년과 2022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했지만, 골든글러브 수상자는 없었다. 2018년에는 최정마저도 수상을 하지 못했고 지난해에는 최정이 유일한 수상자였다.


'김광현도 16년째 못받았다' 13년 동안 최정 한명 빼고 전멸, 왕조 …
1일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2023 리얼글러브 어워드, 리얼글러브상 2루수 부문을 수상한 키움 김혜성이 김광현 부회장과 포즈를 취하고 있다. 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2023.12.01/
팀의 상징적인 투수이자 '국가대표 에이스'인 김광현도 골든글러브와는 인연이 깊지 않다. 프로 2년차인 2008년에 2관왕과 리그 MVP를 수상했고 처음 골든글러브도 수상했다. 그 이후로는 골든글러브와 인연이 없었다. 메이저리그에 진출하는 공백도 있었고, 2014년 이후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외국인 선수들이 휩쓸면서(2017년 양현종, 2022년 안우진 제외하고 전부 외인 수상) 수상 기회는 더욱 줄었다.

사실 골든글러브 수상자 배출 숫자가 좋은 구단의 척도는 아니다. SSG는 지난해 개인 타이틀이 하나도 없이 통합 우승이라는 성과를 이뤄냈었다. 튀는 사람 없이 '원팀'으로 해냈다는 자부심도 있었다.


그러나 포지션별 최고의 선수들에게만 주어지는 골든글러브는 선수 개인에게도, 팀에게도 영광의 결과물이다. 리그를 대표하는 간판 선수를 배출해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최정과 김광현이 아닌, 새로운 선수들을 더 키워내야 한다는 채찍질로 받아들여야 한다. 압도적인 성적이 아니라면 '스타성'으로 표심을 사로잡을 방법도 있다.

최정이 아닌 골든글러브 수상자 배출. 새로운 간판이 필요한 랜더스에게는 앞으로의 중요한 숙제가 될 것이다.


나유리 기자 youll@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