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노재형 기자]한국과 일본의 메이저리그 도전 역사의 뿌리는 각각 박찬호, 노모 히데오다.
|
노모 이후 메이저리그에 굵직한 족적을 남긴 일본인 선수는 이치로 스즈키, 마쓰이 히데키, 사사키 가즈히로, 구로다 히로키, 마쓰자카 다이스케, 다르빗슈 유, 다나카 마사히로 등 끊이지 않고 있다. 그리고 오타니 쇼헤이가 일본인 메이저리그 도전 역사의 정점을 찍었다고 볼 수 있다.
오타니는 지난해 메이저리그 역사상 처음으로 규정이닝과 규정타석을 모두 채웠다. 투수로는 에이스, 타자로는 중심타자 거포다. 이런 예는 없었다.
그는 LA 에인절스에서 6시즌 동안 2021년과 올해 두 차례 MVP에 선정됐다. 만장일치로 두 번 MVP에 오른 선수도 오타니가 유일하다. 지난 9월 생애 두 번째로 토미존 서저리를 받았지만, 상품 가치는 전혀 훼손되지 않았다. FA 시장에서 10여개 구단이 5억달러 이상의 계약을 제안했다고 한다. 토론토 블루제이스도 6억~6억5000만달러를 파이널 오퍼로 그의 마음을 사려고 했다.
하지만 오타니는 우승 전력, 미국 대륙 서부, 돈, 편안함 등 모든 조건에서 LA 다저스 만한 구단이 없다고 판단했다. 10년 7억달러는 메이저리그를 넘어 전세계 스포츠 역사에서 최대 규모다. '축구의 신' 리오넬 메시의 6억7400만달러를 넘어섰다.
|
뉴욕 타임스(NYT)는 11일 '오타니 계약은 돈과 감각을 뛰어넘는다(Ohtani's Contract Goes Beyond Dollars and Sense)'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노모와 이치로, 마쓰이 등 수많은 일본인 선수들이 대박 계약을 터뜨렸지만, 오타니의 기록적인 계약은 차원이 완전히 다른 것'이라며 '일본 선수들은 전반적으로 매우 훌륭하지는 않지만, 최고의 선수들과 최고의 인기를 누리는 선수들은 국제 무대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인 선수들의 빅리그 강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오타니가 정점을 찍고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오타니는 다른 선수들과는 다른 경기력으로 메이저리그를 정복했다는 데 NYT 논평의 방점이 찍힌다.
NYT는 '메이저리그에서 성공한 일본인 선수들에 대해 비판이 가해지는 이유가 있다. 노모는 1995년 다저스에서 신인왕을 차지했지만, 정통적이지 않고(unorthodox), 정지 동작이 포함된(stop-motion) 투구폼 덕분에 성공할 수 있었다'며 '이치로는 2004년 262안타를 칠 때 대부분의 타구가 땅볼과 라인드라이브였고, 일본에서 최정상의 거포였던 마쓰이는 양키스에서 평범한 파워를 지닌 타자로 인식됐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오타니에 대해서는 '오타니는 미국인들을 미국적인 방식으로 무너뜨렸다'고 했다. 일본에서 수 권의 야구 저서를 펴낸 로버트 휘팅은 NYT 인터뷰에서 "오타니는 500피트를 날아가는 홈런을 치고 100마일짜리 강속구를 뿌리며, 대부분의 미국인들보다 덩치가 크가 강하다"고 밝혔다.
|
|
1984~2010년까지 26년 동안 최고 운영위원(Chief Operating Officer) 등 선수노조를 이끈 진 오르자(77)는 NYT에 "미국에서 일본 시장의 성장은 노모와 이라부 히데키, 알폰소 소리아노의 활약 덕분"이라며 "이 세 사람이 장벽을 무너뜨렸다. 오타니는 이들에게 빚을 진 것"이라고 했다.
이라부는 지바 롯데 마린스를 거쳐 1997년 뉴욕 양키스에 입단해 2002년까지 6년을 뛰었고, 소리아노는 히로시마 도요카프에서 2년을 뛴 뒤 1999년 양키스에서 메이저리그에 데뷔해 텍사스 레인저스, 시카고 컵스 등에서 2014년까지 활약했다. 이들이 일본 프로야구에 대한 메이저리그의 시선을 바꿔놓은 덕분에 이후 일본인 선수들이 태평양을 건널 수 있었고, 오타니가 최근 그 혜택을 누리고 있다는 주장이다.
한편, 다저스는 12일 'LA 다저스는 2차례 AL MVP에 오른 오타니 쇼헤이와 10년 계약에 합의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오타니는 이 보도자료를 통해 "나를 환영해 준 다저스 팬들에게 감사드린다. 여러분께 100% 확신을 갖고 말씀드린다. 다저스와 나는 LA 거리에서 월드시리즈 우승 퍼레이드를 하겠다는 같은 목표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노재형 기자 jhn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