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이종서 기자] 16시간의 마라톤 협상. 의미있는 진전은 있었지만, 합의까지는 이어지지 않았다
모든 업무가 중단된 가운데 시범경기 일정도 취소됐고, 4월 1일 예정돼 있던 개막까지 불투명해졌다.
3월 1일이 최종 협상인 가운데 이날 메이저리그 노사측은 오전부터 협상을 진행했다.
선수 측은 반발하기는 했지만, 일단 협상 테이블은 열렸다. 약 16시간 협상. 이번에도 끝맺지 못했다. 다만, 그동안 평행선을 달렸다면, 의미있는 접점을 찾아내기 시작했다. 동시에 마감 시한도 현지 시간으로 1일 오후 5시까지로 연기하면서 정규시즌 정상 개최에 대한 의지도 보였다.
USA 밥 나이팅게일 기자에 따르면 노사 양측은 포스트시즌 참가 팀을 기존 현행 10개에서 12개로 확대하는데 합의했다. 선수 측은 메이저리그에서 2~3년 선수 중 서비스타임이 상위 22%인 선수들이 연봉 조정 자격을 얻는 '슈퍼 2' 비중 확대에 요구를 철회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다만, 부유세 한도와 최저 임금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었다.
MLB네트워크 존 헤이먼 기자는 "부유세 한도에 대해 사무국은 최종적으로 2억 2000만 달러까지 제시했지만, 선수측은 2억 3000만 달러 이상을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저 임금은 사측이 67만 5000만달러에 연봉 신청 자격을 얻기 전인 0~2년 차 선수들에게 주는 보너스풀 2500만 달러를 이야기했다. 선수 노조의 요구는 70만 달러.
메이저리그 사무국 대변인은 "의미있는 진전이 있었다"라며 "합의를 위해서 가능한 모든 일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종서 기자 bellstop@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