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KIA 헥터-팻딘 사상 첫 외국인 투수 동반 200이닝 도전

권인하 기자

기사입력 2018-03-13 06:00


KIA 타이거즈 외국인 투수 헥터 노에시, 팻 딘. 스포츠조선DB

사상 첫 외국인 투수 동반 200이닝이 탄생할 수 있을까

한시즌 200이닝 피칭은 선발투수로서는 영광스런 데이터다. 많은 이닝을 소화한다는 것은 그만큼 적은 투구수로 효과적으로 상대를 잘 막아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즘처럼 경기수가 늘어난 상황에선 불펜 과부하에 대한 걱정이 많아 선발 투수가 많은 이닝을 소화해줘야 하는데, 그래서 200이닝에 대한 평가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KIA 타이거즈의 보물같은 외국인 투수 헥터 노에시와 팻 딘이 팀에 보탬이 되는 것은 그만큼 많은 이닝을 던지기 때문이다.

헥터는 국내 첫 시즌이었던 2016년 206⅔이닝으로 최다 이닝을 소화했고, 지난해에도 201⅔이닝을 던져 2년 연속 최다이닝 투수가 됐다. 20승으로 다승 공동 1위에도 올라 KIA의 정규시즌 우승에 큰 역할을 했다. 헥터는 승리보다 이닝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했다. 지난시즌 양현종과 20승 경쟁을 할 때도 "20승보다 200이닝을 넘기고 싶다"고 했었다. 올시즌에도 200이닝을 소화한다면 다니엘 리오스(두산·2004∼2007년) 이후 처음으로 3년 연속 200이닝을 던진 외국인 투수가 된다.

팻 딘은 9승7패, 평균자책점 4.14로 두 자릿수 승리와 3점대 평균자책점엔 실패했지만 176이닝을 던져 전체 9위에 올랐다. 들쭉날쭉한 피칭으로 많은 승리를 챙기지는 못했지만, 많은 이닝을 던지면서 팀 승리를 이끌었다. 올시즌 팔 각도를 높이는 투구폼 변신을 시도하고 있는 팻 딘도 200이닝 돌파를 목표로 삼았다.

KIA는 아직 불펜진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지는 않았다. 지난해보다 보강됐다고는 하지만 뚜껑을 열어봐야 얼마나 안정감을 갖췄는지 알 수 있다. 불펜이 좋아졌다고 해도 3선발을 맞는 팻 딘으로선 많은 이닝을 소화해줘야하는 책무를 가진다. 임기영이 가벼운 어깨통증으로 인해 시즌 초반 나오는 것이 힘들어지면서 KIA는 4,5선발이 약한 상태에서 시작해야한다. 그래서 4,5선발이 나올 때 불펜 소모가 클 수 있어 양현종-헥터-팻 딘의 1∼3선발이 던질 때 불펜 소모를 최소화해야한다.

이제껏 한팀에서 외국인 투수 2명 모두 200이닝을 소화한 경우는 한번도 없었다. 2016년 두산 베어스의 더스틴 니퍼트(22승)와 마이클 보우덴(18승)이 합작 40승을 거뒀을 때에도 보우덴이 180이닝, 니퍼트는 167⅔이닝을 소화하는데 그쳤다.

헥터와 팻 딘 모두 200이닝을 던진다는 것은 그만큼 둘이 꾸준히 좋은 피칭을 한다는 것이고 그것은 곧 KIA의 정규시즌 2연패에 한 발 더 다가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

◇KBO리그 외국인 투수 연도별 200이닝 이상 투구

2000년=해리거(LG·225이닝)

2001년=에르난데스(SK· 223⅔이닝)

2002년=레스(두산·202⅓이닝) 키퍼(KIA·202⅓이닝)

2004년=리오스(KIA· 222⅔이닝) 레스(두산·200⅔이닝)

2005년=리오스(두산·205⅓이닝)

2006년=리오스(두산·233이닝)

2007년=리오스(두산·234⅔이닝)

2012년=나이트(넥센·208⅔이닝)

2013년=리즈(LG·202⅔이닝)

2015년=린드블럼(롯데·210이닝) 해커(NC·204이닝)

2016년=헥터(KIA·206⅔이닝) 켈리(SK·200⅓이닝)

2017년=헥터(KIA·201⅔이닝)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