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운찬 총재 체제가 출범하고 열흘 가까이 흘렀다. KBO(한국야구위원회) 행정은 멈춤듯 느릿 느릿이다. 정 총재는 업무파악에만 주력하고 있다. 지난 9일 실행위원회에서 10개 구단 단장들을 만나고, 10일 신인 오리엔테이션에 참가하는 등 공식업무는 차질없이 이어가고 있지만 굵직한 현안 처리는 늦춰지고 있다. 실무를 처리할 사무총장 인선이 옴짝달싹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 총재가 취임식에서 강조한 프로야구 산업화, 합리적인 중계권 협상 등 야구계 미래를 결정할 현안은 산더미다. 중계권은 올해부터 2020년까지 순차적으로 계약이 만료된다. 올해 모바일 중계권, 2019년 지상파-케이블TV 중계권, 2020년 IPTV중계권 등 계약 주체마다 일전을 벼르고 있어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KBO 사무총장은 프로야구 통합마케팅을 담당하는 KBOP(KBO 마케팅 자회사)의 대표이사를 당연직으로 겸한다. 프로야구 산업화와 중계권 협상의 실무 총책임자다. 공석으로 오래 비워둘 자리가 아니다.
양해영 전 사무총장의 거취도 뒷말을 낳고 있다. 정 총재가 취임하면서 구본능 총재는 물러났다. 구 전 총재를 6년간 보좌했던 양 전 사무총장도 같이 임기를 마쳤다. 양 전 사무총장은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부회장을 겸하고 있었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부회장은 KBO 사무총장의 당연직이 아니다. 구 전 총재가 협회 행정을 도우라며 양 전 사무총장을 파견식으로 보냈던 터였다. 임기가 끝나 자연인 신분인 양 전 사무총장은 협회 부회장직을 수행중이다. 이를 바라보는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관계자들의 시선은 복잡하다. 차기 KBO 사무총장이 부회장으로 오면 업무가 더욱 원활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총재 보좌역에 관한 부분도 논란이다. 구 전 총재는 앞선 이상일 사무총장의 선례를 들어 양 전 사무총장에게 1년 보좌역, 1년 고문 등 2년간 예우를 결정했고, 이 사안은 정식 이사회를 통과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신임 총재와 사전조율이 부족했다는 점이다. 보좌할 신임 총재의 100% 동의없이 미리 결정된 사안이라 모양새가 이상해졌다. 정 총재는 보좌역 임명 동의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지만 적잖이 불편해 한다는 전언이다. 깔끔한 새출발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상황이다.
박재호 기자 jhpar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