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해외 복귀파들 효과 어땠나? 그리고 이대호는

노재형 기자

기사입력 2017-04-06 21:29


롯데 자이언츠는 4번타자 이대호가 타선에서 중심을 잡아주면서 덩달아 분위기도 살아나고 있다. 지난 4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홈 개막전에서 1회말 홈런을 치고 들어와 관중석을 향해 두 팔을 들어 답례하고 있는 이대호. 사진제공=롯데 자이언츠

롯데 자이언츠의 홈인 부산 사직구장이 이대호의 복귀로 야구 열기가 다시 뜨거워질 조짐이다.

이대호는 지난 4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홈 개막전에서 홈런포를 쏘아올리며 홈 팬들에게 화려한 복귀 신고를 했다. 그가 복귀 첫 홈게임, 첫 타석에서 홈런을 때리자 사직구장은 열광의 도가니가 됐다. 롯데 승리로 경기가 끝난 뒤 이대호는 1루 덕아웃 앞에 마련된 인터뷰 무대에서 팬들의 열화와 같은 응원과 지지를 받았다. 사직구장에 "대호~대호~"가 울려퍼지는 것을 보고 '진짜 그가 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직노래방'이 다시 문을 연 분위기다.

'개선장군'이라고 해야 할까. 아니면 '금의환향'이라고 해야 할까. 둘 다 어울리는 표현은 아닌 것 같다. 꿈을 향해 해외로 나가 일정 수준의 성과를 내고 오기는 했지만, '롯데의 이대호'라는 사실만으로 팬들은 열광하고 있다. 돌아와야 할 시점과 장소에 딱 맞게 돌아왔다고 해야 옳을 듯하다.

무엇보다 이대호가 중심타선에 복귀하면서 롯데 팀 컬러가 확실해졌다. 지난 4년간 잃어버렸던 큼지막한 뭔가를 되찾은 느낌이다. 이대호-최준석-강민호로 이어지는 중심타선은 시즌 시작부터 폭발하고 있다. '이대호 효과'로 설명하는 전문가들이 많다. 상대는 이들 세 명을 모두 상대하기가 부담스럽다. 이대호를 피하고 최준석, 강민호를 상대하는 게 마냥 편하지는 않을 것이다. 5일 현재 롯데는 팀홈런 1위다. 이대호는 홈런왕 경쟁에 뛰어들 것이고, 이번 시즌이 끝난 뒤 FA가 되는 최준석과 강민호의 방망이도 쉼이 없을 것이다.

이대호처럼 해외에서 돌아올 때 강력한 '임팩트'를 뿜어낸 선수는 누가 또 있었을까. 아무래도 타자들이 주류를 이룬다. 대표적으로 이종범을 꼽을 수 있다. 1998년 일본 프로야구 주니치 드래곤즈에 진출한 이종범은 3년 반 가량의 해외 생활을 마치고 2001년 후반기 KIA 타이거즈로 복귀했다. 당시 타이거즈는 해태에서 KIA로 간판을 바꿔 다는 시점에 맞춰 이종범의 복귀를 추진했다. 그해 8월 2일 인천 도원구장에서 열린 SK 와이번스와의 복귀전은 KIA의 창단 첫 경기이기도 했다. 이종범의 상징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KIA는 이후 이종범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2000년 6위에 그쳤던 KIA는 2001년 5위로 뛰어올랐고, 2002년에는 6할5리의 승률로 정규시즌 2위를 차지하며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1997년 이후 5년 만에 가을 무대에 섰다. 이종범이 톱타자로 타선을 이끌면서 KIA 야구는 이전과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이종범이 복귀한 이후 2011년 은퇴할 때까지 KIA는 한 차례 한국시리즈 우승을 포함해 포스트시즌에 6번 진출했다. 복귀 첫 시즌 이종범은 45경기에서 타율 3할4푼을 때렸고, 이후에도 3할 타율을 두 차례 기록했다.


해외에서 돌아온 이종범과 최희섭은 2009년 KIA의 한국시리즈 우승의 주역들이었다. 스포츠조선 DB
2009년 KIA의 한국시리즈 우승 주역에는 이종범 말고도 또 한 명의 해외파가 있었다. 최희섭이다. 최희섭은 1999년 시카고 컵스에 입단해 2007년까지 미국에서 9시즌을 뛰었다. 큰 빛을 보지 못하고 KIA로 돌아온 최희섭은 2007년 5월 19일 잠실 두산 베어스전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당시 5타수 무안타에 그쳤던 최희섭은 불행히도 옆구리 부상까지 당해 2개월간 재활에 매달려야 했다. 그러나 7월 복귀한 뒤 타율 3할3푼7리, 7홈런을 치며 가능성을 보였다. 2008년에도 부상 때문에 부진했던 최희섭은 2009년 타율 3할8리-33홈런-100타점을 기록하며 화려하게 부활했다. 전국의 유명한 산을 다니며 체력을 기른 최희섭은 그해 김상현과 함께 타이거즈의 쌍포를 형성, 9년간의 KIA 생활 가운데 가장 화려한 시즌을 보냈다.

올시즌 후 유니폼을 벗는 삼성 라이온즈 이승엽도 일본에서 돌아온 직후 무서운 방망이 실력을 뽐냈다. 최형우 박석민 채태인 등 후배들에게 중심타자 자리를 물려준 이승엽은 타율 3할7리-21홈런-85타점을 기록하며 존재감을 과시했다. 2013년에는 2할5푼3리로 주춤했으나, 2014년 32홈런과 101타점을 올리며 각종 홈런 신기록에 시동을 걸었다. 이후 KBO리그 통산 400홈런, 한일 통산 600홈런 고지를 돌파했다. 이승엽은 복귀 첫 시즌부터 3년 연속 한국시리즈 우승의 기쁨을 만끽하는 행운도 누렸다.


이승엽과 같은 해 일본에서 복귀한 한화 이글스 김태균은 팀 성적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임팩트가 크지 않았다. 2012년 타율 3할6푼3리-16홈런-80타점을 쳤지만, 팀은 최하위를 면치 못했다. 김태균을 4번 자리에 놓고도 한화는 마운드를 재건하지 못해 2014년까지 3년 연속 최하위에 머물렀고, 2007년 이후 포스트시즌에 오르지 못했다. 김태균의 복귀는 2011년 여름 김승연 구단주가 잠실구장에서 직접 "김태균 꼭 잡아올게"라고 약속하면서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김태균은 복귀 후 지난해까지 5년 연속 3할 타율을 유지했다.


박찬호는 2012년 한화 이글스에서 한 시즌을 뛴 뒤 유니폼을 벗었다. 스포츠조선 DB
한화에서 주목받은 또 한 명의 해외파 스타는 박찬호다. 메이저리그 통산 124승을 기록하고 한화에 입단한 박찬호는 흥행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박찬호는 비록 2012년, 한 시즌만 뛰고 은퇴했지만 한화 팬들에게는 남긴 것이 많았다. 박찬호가 등판하는 날 대전구장과 청주구장은 팬들로 가득했다. 5승10패-평균자책점 5.06의 성적보다는 박찬호의 상징성, 흥행 파워, 선수단을 하나로 묶는 리더십이 더욱 주목을 받았다.

현대 유니콘스 정민태의 복귀도 임팩트가 컸다. 일본에서 2년간 뛰고 2003년 돌아온 정민태는 그해 현대를 한국시리즈 우승으로 이끈 일등공신이었다. 정규시즌에서 17승(2패)을 거두며 다승왕에 올랐고, SK와의 한국시리즈에서는 선발로 혼자 3승을 따냈다. 사실 현대는 정민태와 전성기를 함께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2004년 이후 정민태는 부상 등의 이유로 더이상 기량을 이어가지 못하고 2008년 유니폼을 벗었다.

정민태와 비슷한 시기에 일본에 갔던 정민철은 복귀 첫 시즌인 2002년 7승13패-평균자책점 5.35로 부진을 보이는 등 2009년 은퇴할 때까지 기복이 심했다. 2007년 12승5패-평균자책점 2.90을 올린 것이 복귀 후 최고 성적이다. 그러나 한화는 또다른 해외파 구대성의 복귀 효과를 본 적이 있다. 일본과 미국 야구를 마치고 돌아온 구대성은 2006년과 2007년 각각 37세이브, 26세이브를 올리며 한화의 포스트시즌 진출을 이끌었다.

이밖에 이범호 이혜천 김병현 서재응 송승준 최경환 등 해외 야구를 경험하고 돌아온 선수들이 프로야구 발전에 힘을 보탠 것은 사실이지만, 매번 만족스러운 활약을 보여준 것은 아니었다. 이번에 롯데가 이대호 효과를 누리려면 그 혼자만의 힘으로는 안된다. 선수단과 프런트가 함께 해 나가야 할 작업이다.
부산=노재형 기자 jhno@sportschosun.com


현대 유니콘스와 정민태는 2000년대 초반 전성기를 함께 누렸다. 스포츠조선 DB


현장정보 끝판왕 '마감직전 토토', 웹 서비스 확대출시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