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몸쪽공'에 대처하는 이범호의 자세

정현석 기자

기사입력 2011-07-08 11:41


스포츠조선
2011년 7월 7일
7일 오후 군산 월명야구장에서 넥센과 KIA의 경기가 열렸다. 1회말 KIA 이범호가 넥센 선발 김성태에게서 2점홈런을 친 후 타구를 바라보고 있다.
군산=김경민 기자 kyungmin@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2011년 7월 6일
6일 오후 군산 월명야구장에서 넥센과 KIA의 경기가 열렸다. 7회말 KIA 이범호가 2사 만루의 득점 찬스에서 대타로 나와 아웃된 후 아쉬워하고 있다.
군산=김경민 기자 kyungmin@sportschosun.com

이범호에 대한 상대 투수들의 '느낌'은 많이 변했다.

마주서면 어쩐지 서늘하다. KIA에서 가장 무서운 타자로 자리매김한 이범호를 만나면 더 긴장하고, 더 집중하고, 더 파고든다.

이범호 역시 '방심' 없는 상대 투수와의 싸움이 힘들 수 밖에 없다. 게다가 체력적으로 가장 힘든 시기다. 최희섭의 복귀, 김상현의 완전 부활이 간절하다.

이범호가 '몸쪽공'과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 만나는 투수마다 집요하게 몸쪽을 집요하게 찌른다. 몸쪽공에 대한 이범호의 대처법은 무엇일까.

첫번째 대응? 흘려버리기

지난 6일 군산 넥센전. 피로누적으로 이범호는 선발에서 빠졌다. 0-1로 뒤진 7회말 2사만루가 되자 벤치는 아끼고 아끼던 '이범호 카드'를 대타로 내세웠다. 넥센의 불펜 에이스 송신영과의 숨막히는 승부. 송신영은 집요하게 몸쪽을 공략했다. 6개가 모조리 몸쪽에 붙은 볼이었다. 풀카운트 승부 끝에 6구째, 포수 허도환은 빠져 앉았지만 139㎞짜리 싱커성 볼은 반대투구가 되면서 다시 몸쪽으로 붙었다. 이범호의 방망이가 돌았지만 빗맞아 파울 플라이가 됐다. 몸쪽 공을 일관성 있게 제구할 수 있었던 송신영의 승리였다.

몸쪽공에 대한 이범호는 첫번째 대응은 '무시'다. 안 치고 흘려보낸다. 그는 "몸쪽공은 가급적 안치려고 한다"고 이야기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제구 잘된 몸쪽공은 어느 타자에게나 부담스럽다. 조금 빠르면 파울, 조금만 늦으면 배트 중심에서 비껴간다. 하지만 제구 잘 된 몸쪽공은 다른 의미에서 투수에게도 부담스럽긴 마찬가지다. 조금 가운데로 몰리면 홈런, 조금 안쪽으로 더 몰리면 몸에 맞는 볼이 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두번째 대응? 노려치기


하루 쉬고 나온 7일 넥센전. 이범호의 스윙은 경쾌해 보였다. 1회 1사 1루에서 김성태의 144㎞ 몸쪽 직구에 방망이가 가볍게 돌았다. 시즌 15호 좌월 선제 투런홈런.

볼카운트는 1-2. 홈런 비결은 노림수에 있었다. 이범호는 몸쪽 승부를 예상하고 힘있게 배트를 내밀었다. 물론 김성태의 공이 몸쪽으로 공 1~2개 정도 더 붙었다면 결과는 달라질 수 있었다.

몸쪽공에 대한 이범호의 두번째 대응은 노림수다. 이범호는 "느낌에 몸쪽이 올 것 같으면 의식을 하고 스윙을 한다"고 말한다.

일본 진출 전에는 몸쪽을 알고도 잘 못 칠 때도 있었다. 바깥에서 그게 돌아오는 스윙 궤적이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적어도 알고는 잘 친다. 스윙이 컴팩트해진 덕분이다.

CMB 김성한 해설위원은 "일본 가기 전에 범호는 몸쪽 공에 약했다. 하지만 지금은 몸쪽 공에도 대처가 된다. 손목을 부드럽게 잘 쓰면서 몸쪽에 대응을 한다"며 이범호의 변화를 설명했다. 몸쪽공에 대한 이범호의 '도전과 응전'. 이범호의 야구 인생에 새 역사가 씌여지고 있다.
정현석 기자 hschung@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